X

사람이 전부인 관광업…"위기 대비한 인력 안전망 필요” [만났습니다②]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명상 기자I 2025.07.07 06:05:00

숙련 인력 이탈로 축적된 전문성 붕괴
관광 종사자의 고용 불안, 구조적 문제
인력 안정성 강화 위한 공제·보험 필요
지자체 공무원 순환근무제, 지속성 저해

이경수 한국관광협회중앙회장
[이데일리 김명상 기자] 이경수 한국관광협회중앙회장은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인력의 지속성’을 지목했다. 숙련된 인력이 업(業)과 직(職)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꾸준히 활동할 수 있는 근로 여건과 환경을 만드는 게 최대 현안이자 과제라는 것이다. 이 회장은 “관광·여행업은 투입 리소스의 전부가 인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며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이 업계를 떠나지 않도록 붙잡아 줄 안전망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반복된 재난과 장기 경기 불황이 인력 유출의 서막이었다면 업계 전체를 벼랑 끝 위기로 내몰았던 코로나19 사태는 양질의 인력 유출을 가속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고 진단했다. 국내외 여행 수요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을 만큼 회복됐지만, 업계는 인력 부족으로 회복은커녕 위기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회장은 인력 부족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서비스 공백의 피해가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구조적 상황에 대해서도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아무리 좋은 여행 상품을 만들어도 전문 인력이 없으면 서비스 품질이 떨어지고, 결국 전체 산업 경쟁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관광·여행 업계가 겪고 있는 인력 문제를 고용 이슈가 아닌 산업 생태계와 경쟁력 측면 등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 회장은 해결책으로 관광·여행업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안전망 도입을 제안했다. 각종 재난·재해 등 어떤 위급 상황이 닥치더라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해 주는 제도를 통해 고용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 그는 “외부 충격에 취약한 관광·여행업의 특성 때문에 재난·재해가 닥칠 때마다 20만 명이 넘는 종사자들이 심각한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상황”이라며 “산업 지속 가능한 생태계와 안전성 강화 차원에서 재난 대응형 관광 공제 및 보험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력의 지속성 확보는 지자체 관광 관련 조직에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봤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보직이 바뀌는 순환 근무 체재에서 전문성과 정책 일관성을 확보하려면 관광 전문관의 권한과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 이 회장은 “공무원 신분이지만 임기가 정해진 단기 계약직 형태의 전문관 제도로는 이들이 전문성을 온전히 발휘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국가·지방직 공무원 채용 분야에 관광 직군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부분”이라고 제안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TheBeLT

- 최휘영 문체부 장관 후보자, 놀유니버스 대표직 사임 - 순창·연천·영덕 등 7개 지자체, ‘2025 대한민국 관광정책대상’ 수상 - 액티비티부터 워터파크를 동시에…제주신화월드, 체험형 콘텐츠 강화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