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 딥시크로 아프리카에 영향력 높일 가능성 대두

송재민 기자I 2025.03.02 15:42:49

아프리카 디지털 전환 분야 영향력 높일 것
2030년까지 2조9000억달러 성장 기여

중국의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중국이 자국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DeepSeek)를 활용해 아프리카 대륙의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럽 통신 표준인 국제모바일통신시스템(GSM)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현재 아프리카는 전 세계 AI 시장의 2.5%를 차지하고 있지만, AI 기술이 향후 2030년까지 아프리카 경제를 2조9000억 달러(한화 약 4239조 원) 규모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프리카에는 AI에 특화된 기업이 2400곳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들 기업은 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케냐,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에 집중돼 있다.

특히 남아공은 2022년 광업, 정부 데이터 클라우드 시스템, 자동차 인프라,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응용을 지원하는 국립 연구소를 설립하며 대륙 내 AI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중국 중앙정부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국 기업들과 총 7000억 달러(한화 약 1023조 원) 규모의 해외 엔지니어링 계약을 체결하며 중국 해외 엔지니어링 시장의 주요 축으로 떠올랐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아프리카 대상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2013년에는 미국을 추월했다.

위자 베이징대 신구조경제학연구원 교수는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과 아프리카 간 협력이 더욱 확대될 ‘기회의 창’이 열렸다고 평가하며, 특히 농업과 보건 분야에서 AI 기술 발전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케냐와 모로코 등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외국 기업이 자국민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규제를 마련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지난해 4월 중국-아프리카 인터넷 포럼에서 아프리카 국가들과 AI 거버넌스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딥시크 쇼크

- 딥시크, 한국 이용자 정보 무단 국외 이전..개인정보위 시정권고 - "패권전쟁에 대응 가능한 중국…딥시크는 빙산의 일각" - 中 딥시크에 칼 빼든 美…엔비디아 칩도 겨냥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