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가 26일 발간한 보고서인 ‘자율주행이 만드는 새로운 변화’ 에 따르면, 국내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1509억원에서 2035년 약 26조1794억원으로 연평균 40%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삼정KPMG는 국내 기업들이 시장 확대를 위한 협력과 선점을 위한 경쟁을 하는 ‘코피티션(Copetition)’ 전략으로 자율주행 인프라 산업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
글로벌 자율주행 전장 부품 시장 규모는 2015년 284조원에서 2020년 360조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산업이 센서, 모듈, 시스템 영역의 기술혁신을 통해 향후 도래할 자율주행 시대의 주도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최근 자동차 부품 업계에서는 자율주행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 기업의 분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자율주행 관련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하고 시장 내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통신 업계에서는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의 핵심 요소인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차량·사물 통신)의 상호 연관 기술 및 표준화가 시장 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V2X는 차량을 중심으로 유무선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차량과 도로의 정보 환경과 안정성, 편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글로벌 차량공유 비즈니스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238조원을 기록한 이후 2050년 약 4754조원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정KPMG 자동차 산업 담당 리더인 위승훈 부대표는 “향후에는 OEM과 통신사, 통신사와 IT기업, 플랫폼 기업과 OEM 등 다양한 협력 관계가 구축되어 산업을 초월한 기업 연대(Corporate Alliance)가 탄생할 것”이라며 “이들은 축적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플랫폼과 연계를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