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공청회에는 강원FC 양훈제 팀장, 포항스틸러스 이영훈 과장, 경남FC 김진택 팀장, 신의손 천안시티 코치, 현영민 K리그 기술연구그룹(TSG) 위원, 김용일 스포츠서울 기자가 참석했다. 이들은 외국인 선수 제도 확대 흐름과 확대 시 국내 구단에 끼칠 재정 건전성 문제, 외국인 골키퍼 제한 규정 폐지 여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K리그1은 2025년부터 국적과 무관하게 필드 선수 최대 6명 등록·4명 동시 출전, K리그2는 최대 5명 등록·4명 동시 출장할 수 있다. 외국인 골키퍼는 1999년부터 영입이 금지돼 있다.
최근 아시아 주요 리그 흐름은 외국인 선수에 대한 문을 활짝 열고 있다.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를 비롯해 일본,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아시아 쿼터를 폐지하고 외국인 선수 쿼터를 늘리고 있다.
이에 따라 클럽대항전에 나서는 K리그 팀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반면 외국인 제도를 확대하면 국내 선수의 설 자리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날 공청회 참석자들은 세계적인 흐름에 맞추되 스카우트 시스템 등 환경적인 요소가 구비돼야 한다고 말했다.
양 팀장은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와 출전 선수 숫자를 맞출 필요가 있다며 “국내 선수든 외국인 선수든 출전으로 가치를 높이고 이적료가 오르기에 수입이 증대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김 기자도 “팬들은 세계적인 흐름에 맞는 리그 운영을 갈망한다”라면서도 “외국인 보유 제한을 풀었을 때 정상적으로 돌아가려면 구단의 스카우트 시스템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직도 한두 명이 스카우트 업무를 보는 구단이 있다”라며 “외국인 선수가 실패하면 정리하는 과정이 복잡하기에 구단 스카우트 시스템이 내실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
결국 연맹은 국내 골키퍼 육성을 위해 외국인 골키퍼 출전 제안 규정을 뒀고 1999년부터는 아예 영입이 금지됐다. 신 코치는 2000년 귀화해 계속해서 K리그 무대를 누볐다.
신 코치는 1995년과 현재는 아주 다르다며 “(외국인 골키퍼 영입 제한을 푼다면) 아마 K리그1 12개 팀 중 8개 팀 정도는 국내 선수를 쓰고 4개 팀 정도는 위험해 보인다. K리그2도 괜찮아 보인다”라고 말했다.
현재 지도자로 활동하는 신 코치는 “과거엔 프로팀에 8개밖에 없어서 유소년 선수들에게 기회가 부족했으나 지금은 프로팀이 25개나 된다”라며 오히려 골키퍼를 꿈꾸는 유망주 선수들에게 동기부여가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신 코치는 “한국 골키퍼 수준은 매우 높고 미래엔 더 기량이 좋아질 것”이라며 “난 한국 골키퍼들을 믿는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