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지난 6일 사회적 거리두기 2주 연장(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을 발표하며 공연장 세부 방역 수칙을 또 바꿨다. 정규공연시설 이외 시설에서의 공연에 대해선 3단계에서 6㎡당 1명, 최대 2000명까지로 제한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4단계에서 정규 공연시설이 아닌 곳에서의 공연 개최를 금지했던 한시적 수칙은 아예 정규화했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대규모 콘서트 개최를 막기 위한 조치라는 목소리가 높다. 정규공연시설 이외 공연을 하는 시설은 실내체육관 등을 들 수 있고 주로 대중가수의 콘서트가 열렸기 때문이다. 좌석 간 띄어 앉기를 적용해 회당 2000명 이상 규모의 공연을 열 수 있는 장르 역시 콘서트의 비중이 가장 높다.
대중음악공연업계는 이미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분야다. 클래식, 뮤지컬 등 타 장르가 ‘공연장 수칙’을 적용받던 가운데 콘서트만 ‘모임·행사’로 분류돼 긴 시간 공연 개최가 어려웠다. 콘서트는 지난 6월 14일이 돼서야 ‘공연장 수칙’을 적용받기 시작했다. 7월 1일부터는 2~4단계에서도 5000명까지 수용하는 콘서트 개최가 가능해져 숨통이 트였다.
그러나 잠시뿐이었다. 정부는 4차 대유행 위기가 오자 7월 9일 수도권 4단계 격상을 발표하며 정규공연시설이 아닌 곳에서 열리는 공연 개최를 금지했다. 정책이 일주일 만에 뒤엎이고 콘서트 개최에 다시 제동이 걸린 것이다. 1~3단계인 지역에선 적용되지 않는 조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말을 바꿨다. 7월 22일부터 8월 1일까지 비수도권 역시 정규공연시설에서만 공연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한부 정책을 발표한 거다. 이는 2단계였던 부산에서 진행 예정이던 나훈아 콘서트를 막기 위한 땜질식 조치로도 여겨졌다.
정부가 또 다시 ‘콘서트 저격’ 정책을 내놓자 업계의 불만은 최고조에 달했다. 명확한 근거 제시 없이 콘서트만 옥죄는 조치를 납득하기 어렵고 언제 또 정책이 바뀔지 몰라 공연을 기획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가수들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만들어지는 데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K방역에 K팝 업계가 멍들어 가는 꼴이다. 정부가 특정 장르를 ‘적폐’ 취급하며 벼랑 끝으로 내모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책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형평성 없는 오락가락 정책이라면 아무리 옳은 일이라도 국민을 납득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