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4 최동원>은 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극적인 한국시리즈, 1984년 가을 그야말로 기적 같은 우승을 이끈 롯데 자이언츠 무쇠팔 故 최동원의 투혼을 담은 최초의 다큐멘터리다.
영화가 상영된 후 진행된 무대인사에는 <1984 최동원>의 조은성 감독과 1984년 故 최동원 선수와 한국시리즈를 함께 뛴 임호균, 김용철이 함께해 최동원에 대해 추억하며 특별한 감동을 선사했다.
조은성 감독은 다큐의 시작에 대해 “사실 저는 옆에 계신 두 분 선배님들처럼 프로야구 선수를 꿈꾸면서 초등학교, 중학교 때 실제 야구선수를 했었다”며 “그래서 10년 전에 최동원 선배님이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를 듣고 베이스볼 키즈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으로서 그분을 추모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 생각을 하다가 그분의 가장 빛났던 시기 1984년을 스크린을 통해서 다시 한번 재연을 해보자라는 생각이 들어서 시작을 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한 사람을 추모하는 여러 가지 방식들이 있겠지만 제가 그나마 제일 잘 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보여주고 싶다는 마음도 전했다.
1984년 최동원과 함께 롯데 자이언츠의 마운드를 책임진 임호균은 “대단한 야구인으로서 한국 야구에 표본이 되고 한국 야구에 길이 남을 수 있는 그러한 재능을 조금 더 오랫동안 후배들이나 팬들한테 보여줄 수 있었을 텐데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일찍 간 게 대단히 안타깝다”라고 전했다.
김용철 또한 “1차전부터 7차전까지 각본 없는 드라마이고. 속으로는 던져라 던져라 했다. 속으로는 계속 던져라 하면서도 동원이한테 피곤하지, 힘들어도 조금 버티자 말했다. 하지만 진짜 큰일 나겠구나 생각을 했다”라고 말한 뒤 눈물을 보였다.
조은성 감독은 “다큐를 십몇 년 동안 만들면서 가장 힘들었던 작품이 <1984 최동원>이었던 것 같다. 아카이브가 사실 한국에 별로 남아있지 않았다”며 “주변의 선수분들, 유족 분들 만나서 조금씩 아카이브를 모으기 시작했고, 제일 힘들었던 거는 아카이브 복원하는 거였다. 쌓인 아카이브를 84년 한국시리즈 경기만을 뽑아서 저희가 인터뷰 요청도 드리고 해서 완성된 게 지금 이 버전”이라고 밝혔다.
임호균은 “훈련은 치르고 하는 모습이 최동원의 본 모습인데 사실은 본 모습보다는 유니폼을 벗고 난 이후에 최동원이라는 선수는 상당히 외로운 선수였다”고 곁에서 지켜봤었던 최동원 선수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최동원이라는 걸출한 투수는 대한민국 야구사에서 틀림없이 영원히 기억될 수 있는 선수라고 말할 수 있다”며 “우리 후배들이 이런 모습을 또 한 번 지켜보면서 비교해 보는 것도 어떤가 싶다”고 끝인사를 전했다.
김용철은 “최동원 선수한테 항상 고맙고, 미안하고, 사랑한다 이 생각을 하고 살아야 할 것 같다”며 “최동원 선수 때문에 여기 이 자리에 설 수 있게 됐다. 여러분도 영화 좋게 봐주셨으면 감사하겠다”라는 말을 전했다.
조은성 감독은 “스포츠라는 것이 단순히 하나의 운동이 아니라 세대와 세대를 이어주는 콘텐츠라고 생각하고 저는 앞으로 스포츠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야 할 것 같다”며 “ <1984 최동원>이 11월 11일 날 개봉을 하는데, 최동원 선배의 등번호가 11번이었기 때문에 특별한 날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개봉일로 정했다”고 덧붙였다.
언론 시사회를 성료한 <1984 최동원>은 11월 11일 개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