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오전 CJ ENM은 비전스트림 행사를 열고 CJ ENM과 TVING의 미래 비전과 성장 전략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강호성 대표이사는 CJ ENM이 오랜 기간 콘텐츠 사업에 지속적인 투자와 열정을 쏟아내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을 받을 수 있었다며 “올해만 8000억원, 향후 5년 동안 5조원 규모 이상의 콘텐츠 투자를 실행하겠다”라며 “웰메이드 IP 양산 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투자도 대폭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투자금액에 대해서 “갑자기 무리한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처럼 해왔던 대로 성장률을 비춰봤을 때 이 정도”라고 설명했다.
임상엽 COO는 올해 투자하는 8000억이 콘텐츠로 하면 2000회차, 하루에 4개 정도 콘텐츠라며 “이중에서 절반 이상이 드라마 쪽에 투자가 되고 예능, 영화에 투자가 된다”면서 “말씀드린 숫자에서 스튜디오와 협상, 제휴를 통해서 콘텐츠 공동 제작 등이 이뤄지면 콘텐츠 투자는 더 늘어날 것이다.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통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J ENM은 K콘텐츠가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만큼 국내 최대 콘텐츠 회사로 자리매김 한 것을 넘어 글로벌 토털 엔터테인먼트가 되겠다며 ▲콘텐츠 제작 역량 고도화 ▲음악 메가(Mega) IP 확보 ▲ 제작역량 글로벌화에 대한 전략을 내놨다.
|
강 대표는 CJ ENM을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 제작 영역을 확대하고 멀티 플랫폼으로 유통 영역을 확장하겠다고 성장 전략을 제시하며 “LTV(Lifetime Value, 가치주기)를 가진 프랜차이즈 IP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내며, 드라마, 영화, 웹툰, 공연간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완결형의 자체 제작 생태계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2016년 스튜디오드래곤을 통해 전문적인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 시대를 열었던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예능·영화·디지털·애니메이션등에서도 전문화된 멀티 스튜디오 구조를 갖춰간다는 구상을 공개했으며, 전문화된 스튜디오 구조에서 제작된 콘텐츠는 티빙 뿐만 아니라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OTT에도 공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서 수익성을 확보하고 글로벌향 기획제작역량을 지속 강화해 크리에이터에 대한 동기 부여와 비전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라고 알렸다.
강 대표는 “멀티 스튜디오 시스템은 효율적 제작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면서 “포맷, 장르를 아우를 수 있는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CJ ENM은 국내 최대 규모의 LED월을 보유한 VFX스튜디오를 포함한 13개동 212,883㎡ 규모의 최고 수준 미래형 스튜디오를 지향하고 있다.
◇글로벌 음악 사업을 위해 메가 IP 투자 확대
음악사업은 글로벌 확장을 위해 메가(Mega) IP를 지속적으로 확보,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CJ ENM 음악사업은 Mnet ‘아이랜드’를 통해 탄생한 그룹 엔하이픈이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하고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하자마자 18위에 오르는 등의 성과를 이뤘고, 일본에서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배출시킨 JO1(제이오원)이 오리콘차트 1위를 달성하며 인기몰이 중이다. 현재 이 프로그램의 두번째 시즌이 인기리에 방영 중인 만큼 일본에서의 꾸준한 활약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CJ ENM은 일본 뿐만 아니라 HBO-MAX와 손잡고 남미 K-POP 아이돌 그룹 오디션 프로그램도 기획·개발에 들어갔다며 ‘슈퍼스타K’, ‘아이랜드(I-LAND)’ 등 독보적인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K-POP 메가(Mega) IP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MAMA’, ‘KCON’ 등 대형 글로벌 프로젝트로 결집된 팬덤에 결합해 CJ ENM만의 IP 포트폴리오로 참여·경험형 글로벌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제작 역량 글로벌화에 박차
티빙을 필두로 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CJ ENM은 제작 역량의 글로벌 화에도 박차를 가하겠다는 포부다. 강 대표는 “동아시아 시장을 넘어 미국에서도 K콘텐츠가 메인 스트림에 입성하는 중이다”라며 “CJ는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동남아 등 주요 현지에서 전진 기지들을 구축했는데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단순 제작 유통에 그치지 않겠고 ENM만의 감성으로 제작하고 색깔을 입히겠다”고 설명했다.
버츄얼 스튜디오를 포함해 13개 대형 스튜디오로 구성된 콘텐츠 스튜디오 완공 등 제작 인프라 구축에 힘쓰겠다는 강 대표는 “수많은 크리에이터들이 가장 오고 싶어하는 곳, 함께 일하고 싶어하는 곳으로 만들어나가겠다”면서 “휴먼 IP, ‘MAMA’ 및 K콘텐츠 대형 글로벌 프로젝트 모든 것들을 결집해서 탄생되는 팬덤에 ENM만의 유니버스 시스템을 갖춰 성장성 있는 미래산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CJ ENM은 IPTV 사용료 인상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마련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최근 IPTV 3사는 CJ ENM이 비정상적인 수준의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요구했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강 대표는 K콘텐츠의 글로벌 시대가 온 것은 국내 인프라, 유통 구조, 수입 구조가 선진화된것이 아니라 K콘텐츠가 발전했기 때문이라며 “비대칭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콘텐츠는 발전하고 있는데 시장구조는 국내 시장 수준이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OTT가 한국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에 관심이 있고 분배 시장에 관심이 없다면 제작사들이 메이저 스튜디오에 예속화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시간이 없다. 우리 콘텐츠의 우수성 만큼, 질의 발전 만큼 유통 구조, 분배 구조 시장구조도 선진화 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에서는 IPTV사에 공급을 하고 방송 제작비 3분의 1 정도를 수신료로 받는 반면 미국 같은 경우는 제작비 100% 이상을 수신료로 받는다는 것도 짚었다. 강 대표는 “미국은 이미 수신료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콘텐츠에 투자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된다”면서 “우리는 늘 불안하다. 제작을 해도 기본적으로 받을 수 있는 수익인 수신료가 3분의 1밖에 안된다. 그러면 부가 수익으로 채울 수밖에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수신료를 높이는 것이) 변화된 시장에서 우리 K콘텐츠가 글로벌로 나아갈 수 있고 우리 IP를 지킬 수 있는 것”이라고 사용료를 인상하는 이유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