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현지시간) 넷플릭스 등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최근 ‘머신 러닝 부품 제품 관리자’의 구인 공고를 자사 채용 사이트에 게시했다. 이에 대해 넷플릭스는 “머신 러닝 플랫폼(MLP)은 AI 실무자들이 관련 모델을 쉽게 개발해 배포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MLP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관리 역할을 신설한다”고 취지를 밝혔다.
해당 직무자의 자격 요건에 대해선 엔지니어 및 머신 러닝 실무자와 긴밀히 협업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기술 이해도와 알고리즘, 제품 개발에 더 큰 비즈니스 맥락을 통합할 수 있는 전략적 사고 능력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넷플릭스가 제시한 해당 분야 직책의 연봉 범위는 무려 30만~90만 달러(한화 약 3억 8000만 원~11억 6000만 원) 수준에 달했다. 넷플릭스는 “총보수를 기준으로 한 액수로, 넷플릭스의 보상 철학과도 일치한다”고 전했다.
넷플릭스의 구인 공고는 현재 파업 중인 할리우드 배우 및 작가들의 원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고액 연봉을 내세워 관련 직무자를 도입하려는 것은 넷플릭스가 배우 및 작가들의 반대를 부른 AI 관련 콘텐츠 제작을 사실상 늘려나가겠다는 방침을 공개적으로 시사한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
이에 대해 넷플릭스 시리즈 ‘블랙 미러’에 출연했던 배우 롭 델라니는 현지 온라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1년에 90만 달러 수입은 35명의 배우와 그 가족이 배우·방송인노동조합(SAG-AFTRA)의 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수준의 금액”이라며 “AI 부서 1명에게 그 정도 금액을 준다는 게 끔찍하다”고 비판했다.
드라마 작가인 엘리자베스 벤저민도 자신의 SNS에 “넷플릭스가 배우들의 AI 우려에 맞서 고액 연봉의 AI 채용 공고를 올렸다. 속이 뒤집어진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인류의 미래는 인간성을 보존하는 우리의 능력에 달렸다”며 “동지 여러분 힘내자”고 파업 중인 배우, 작가들을 독려했다.
할리우드의 양대 노조로 꼽히는 미국작가조합(WGA)과 SAG-AFTRA는 대기업 콘텐츠 스튜디오로 대표되는 영화·TV제작자연맹(AMPTP)에 맞서 동반 파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 5월 WGA가 먼저 파업을 시작했고, 최근 16만 명이 소속된 SAG-AFTRA의 배우 및 방송인들이 만장일치로 동반 파업을 결의하면서 할리우드의 모든 콘텐츠 제작 과정이 사실상 마비된 상황이다. 할리우드에서 작가들과 배우들이 동시에 파업에 나선 건 1960년 이후 무려 63년 만이다. ‘스파이더맨4’, ‘듄2’, ‘아바타3’, ‘아바타4’ 등 수많은 영화 및 드라마의 공개가 미뤄지거나 방송 프로그램들에 차질이 생겼다.
AI 기술 도입은 이번 파업을 불러일으킨 노사의 주된 쟁점 사안이기도 하다.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업계가 AI 기술을 도입하게 되면, AI가 작성한 대본을 작가들이 따라 쓰면서 저작권이 침해되거나 딥페이크 기술 등 AI 활용이 배우들의 초상권 및 각종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배우들은 스튜디오 측이 배우의 얼굴, 이미지, 목소리를 가져다 AI로 학습시켜 지속적으로 활용하면 한 번의 출연료만 지급하고도 스튜디오 측이 배우들의 자산인 얼굴, 목소리 등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작가들 역시 AI 대본이 활성화되면 작가 및 배우들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 관련한 방지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AMPTP 측에 요구했다. 하지만 AMPTP 측이 작가, 배우들이 제시한 협상안을 거부하면서 파업까지 치닫게 됐다.
이에 대해 미국 연예매체 할리우드리포터는 “할리우드에서 AI의 미래는 아직은 불투명하지만, 주요 스튜디오와 스트리밍업체들이 해당 기술에 흥미를 갖고 있다는 것만큼은 의심에 여지가 없다”고 표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