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짜파구리는 람동, 서울대는 옥스퍼드… '기생충' 재미 더한 맛깔난 번역

윤기백 기자I 2020.02.12 08:02:43

통역은 샤론 최… 번역은 달시 파켓
전 세계 휩쓴 '기생충' 숨은 주역들

[이데일리 스타in 윤기백 기자] 영화 ‘기생충’이 4개의 오스카 트로피를 거머쥘 수 있었던 비결에는 샤론 최의 훌륭한 통역뿐 아니라 맛깔나게 번역한 영어 대사도 빼놓을 수 없다.

‘기생충’ 패러디 포스터(사진=농심)
지난해 10월 북미에서 개봉한 ‘기생충’은 박소담이 박사장네 집에 들어가기 전 부르는 ‘제시카송’을 비롯해 해외 관객들의 눈높이에 딱 맞는 적재적소 영어 번역 대사가 화제를 모았다. ‘제시카는 외동딸, 일리노이 시카고, 과 선배는 김진모, 그는 니 사촌’이라는 짧은 노랫말을 지닌 제시카송은 미국 현지 관객의 큰 반향을 일으키며 각종 SNS를 통해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한국 관객만이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도 현지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재치있게 번역해 ‘기생충’의 또다른 재미를 선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는 라면과 우동을 합친 단어인 ‘람동’(Ramdong)으로 표현됐고, 송강호가 농담조로 내뱉은 ‘서울대 문서위조학과 뭐 이런 거 없나’라는 대사 속 서울대는 옥스퍼드로 번역됐다. 실제로 칸 국제영화제 상영 당시 외국 관객이 ‘기생충’의 이 같은 웃음 포인트에서 박장대소를 터트렸다는 일화는 이미 유명하다. ‘기생충’의 놀라운 작품성은 물론, 국적을 가리지 않는 적재적소 유머코드가 전 세계 관객들의 배꼽까지 사로잡은 것이다.

‘기생충’의 아카데미 4관왕 소식이 전해진 이후 국내 포털사이트는 물론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에는 ‘짜파구리’(Chapaguri) 등이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12일 주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는 ‘짜파구리’, ‘짜파구리 조리법’ 등이 랭크됐고, ‘기생충’ 포스터에 짜파구리를 재치있게 합성한 포스터가 등장하기도 했다.

‘기생충’ 영어자막은 미국 출신 영화평론가 달시 파켓이 맡았다. ‘아가씨’, ‘공작’, ‘곡성’ 등 많은 한국 영화의 영어 자막을 담당했던 파켓은 ‘기생충’에서도 봉준호 감독의 의도를 정확히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 영화 새 역사 `기생충`

- [왜?] 트럼프는 왜 ''기생충''이 맘에 들지 않을까 - "빌어먹을 영화가 오스카를"…연이틀 `기생충` 저격한 트럼프 - 北, 영화 ‘기생충’ 첫 언급…“빈부 차, 남조선 현실 도려낸 명작”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