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프로모션, 팬 따라간다] TV→온라인 플랫폼, 변화와 우려 사이

강민정 기자I 2015.07.08 09:03:41
씨스타 AOA.
[이데일리 스타in 강민정 기자] 음악 방송 프로그램은 팬덤을 자랑하는 가수가 총출동하는 곳이다. MBC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KBS2 ‘뮤직뱅크’, 케이블채널 Mnet ‘엠카운타다운’ 등 시청률은 2,3% 수준이다.

대신 음악 방송 프로그램 녹화가 있는 날이면 각 방송국 주변이 팬들로 장사진을 이룬다. 잠깐이지만 실물을 직접 보기 위해서다. 눈이 호강한 뒤엔 손가락이 바빠진다. 스마트폰을 들고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출근길 패션’ 사진을 체크한다. 유튜브에서 뮤직비디오를 재생해 ‘무대 복습’을 한다. 팬들이 만든 움직이는 짧은 동영상, 속칭 ‘움짤’을 되돌려보며 음악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되길 기다린다. 방송 후 1시간 내 올라오는 클립 영상으로 내가 좋아하는 스타의 무대만 골라 본다. ‘눈도장’을 찍고 ‘손가락’으로 즐기는 팬덤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TV보다 온라인이 스타와 나의 심리적 거리를 줄여주는 시대다. 가수들도 팬 따라 움직이고 있다. 씨스타, AOA, 빅뱅, 소녀시대, 걸스데이 등 컴백이 잇다르는 7,8월. ‘가요계 격전지’라 불리는 곳은 무대 위만이 아니다. 컴백 프로모션을 위한 ‘온라인 활동’도 바삐 돌아간다.

물리적인 접근보다 심리적인 거리에 집중한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 대세다. 컴백 전 기자와 소규모 팬을 초대한 쇼케이스로 신곡을 선공개했던 추세가 대중적으로 범위를 넓히고 있다. 다음팟, 유튜브, 네이버V, 아프리카TV UP 등 인터넷 방송으로 팬들과 만나고 있다. 컴백 쇼케이스도 오프라인과 실시간 생중계 등 이원화 시스템을 구축한다. 제한적인 의미를 뒀던 ‘선공개’가 팬 서비스 차원으로 확대된 셈이다.

걸스데이는 최근 네이버V에서 인터뷰를 했다. 아프리카TV 최군TV에도 얼굴을 비췄다. 씨스타도 최군TV에 출연했다. 서인영도 아프리카TV에 출연해 컴백 전 프로모션으로 팬에게 구두를 선물했다. AOA의 설현과 초아도 아프리카TV에서 팬들과 만났고, 설현은 KBS2 드라마 ‘오렌지 마말레이드’ 시청자와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이색적인 경험을 했다.

인터넷방송 최군TV에 출연한 씨스타.
추세의 변화엔 일찍이 TV에서 온라인으로 자리를 옮긴 문화 소비층이 있다. 특히 지갑을 열고, 발품을 파는 실질적인 팬층, 10~20대의 움직임이 온라인에서 두드러진다. 홍종현 이화여대 언론영상학과 교수는 “PC보다 스마트폰에 익숙해졌고, 스마트폰 플랫폼도 PC못지 않은 사양과 서비스, 시스템을 완성했다”며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지 않고 영상을 만들고, 공유하는 공급의 역할까지 하고 있는 팬덤의 흐름을 읽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온라인 포맷과 방송 매체가 결합해 만든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의 인기가 요즘 흐름을 반영하는 결과물이다. 다음팟으로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접속하는 네티즌은 10만명을 훌쩍 넘긴다. 이에 힘입어 TV로 시청하는 사람들도 늘었다. 심야 방송 프로그램인데 시청률 10%를 오간다. 평일 미니시리즈가 시청률 10%를 넘기기 힘든 요즘 ‘대박 예능’이라 불리는 이유다.

트렌드가 바뀌는 과정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흐름에 편승하려는 시도가 우후죽순처럼 드러나는 분위기다. 2009년 MBC 공채 개그맨 최군이 아프리카TV에서 만든 ‘최군TV’를 시작으로 인터넷 방송 플랫폼은 마니아 팬덤 매체로 자리잡았다. 그 발전 과정을 봤을 때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 몸집을 키운 과정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 아프리카TV 등의 요즘 인기를 지켜보며 소위 숟가락을 얹으려는 이들이 많아진 게 아니냐는 뜻이다. 오는 8월 론칭을 앞둔 네이버캐스트의 방송 플랫폼 ‘네이버V’부터 아프리카TV가 자체적으로 만든 ‘UP’ 등 갑작스럽게 늘어나는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 대표적인 예다. 실제로 이들 매체엔 빅뱅, 레드벨벳, FT아일랜드, 달샤벳 등 내로라하는 스타가 출연했지만 아는 사람들만 아는 실정이다. 가수들이 자신을 위한 홍보가 아닌 매체를 위한 홍보에 활용된 셈이다.

홍 교수는 “컴백이나 특정 이벤트를 위한 시점에 맞춰 플랫폼을 활용하려는 스타들이 스스로 건전한 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고 전했다. 정덕현 문화평론가는 “가수는 길어야 5,6주 동안 활동하는데 팬들과 교감하기엔 시간·공간의 물리적인 제약이 크기 때문에 온라인 플랫폼은 모두에게 효과적인 대안이다”며 “하지만 일회적인 이슈, 단발적인 수익을 계산해 무분별하게 플랫폼이 늘고 질적 수준이 낮은 콘텐츠가 양산되는 시대가 오면 결국 단면만 넓히는 폐해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관련기사 ◀
☞ [★프로모션, 팬 따라간다] IT시대, 아날로그로 情을 나누다
☞ '맹모닝' 잡은 '백나잇'..백종원의 매직, 꽁치캔의 부활
☞ 길라임, 거품키스, 피노키오..'너사시', 연출의 센스
☞ 빌 코스비 "성관계 위해 여성들에게 진정제 썼다" 시인
☞ 저스틴 비버, 또 기행..올누드 뒤태 사진 공개로 뭇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