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월 아시안컵 4강 탈락이라는 결과의 후폭풍은 거셌다. 역대 최강의 호화 멤버로 구성한 대표팀이었다. 64년 만의 아시안컵 우승이라는 목표에 대한 열망이 강했다. 국민적인 관심도 그만큼 컸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4강도 잘한 결과였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리더십 부재와 워크에식(work ethic) 논란에서 시작해, 이강인(23·PSG)이 주장 손흥민(32·토트넘)에 주먹을 휘두른 하극상까지 총체적 난국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새로운 사실까지 드러났다. 아시안컵 준비 기간 축구협회 직원과 일부 선수들이 카지노에서 쓰이는 ‘칩’을 놓고 ‘카드 게임’을 했다는 것이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전지훈련 중 일부 선수들과 지원 스태프 사이에 작은 갈등이 있었는데, 이를 푸는 과정에서 휴게실에서 카드놀이를 한 것이라 한다.
가벼운 카드놀이를 하는 것은 선수들의 스트레스 해소 차원에서는 권장할만하다. 실제 축구협회는 소집 기간이 긴 대회에 참가할 때 선수들이 자유롭게 숙소 내에서 여가를 보낼 수 있도록 카드, 장기, 바둑, 보드게임, 비디오게임기가 비치된 휴게실을 운영해왔다. 카드놀이를 한 것 자체는 문제가 될 게 없는 행동이고, 돈을 걸었다 하더라도 ‘내기’ 수준의 소액이라면 봐 줄 수 있다. 축구협회도 자체 조사 후 ‘단순 내기’로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굳이 칩까지 챙겨서 전지훈련을 갔다는 사실이 상식적이지 않다. 단순한 내기라는 해명을 받아들이기 어렵게 한다.
이는 누적된 측면이 크다. 클린스만 감독의 선임 과정 불투명했던 점, 클린스만 감독이 재택근무를 하면서 불러일으킨 워크에식 논란, 이 과정에서 불거진 협회와 감독의 원활하지 못한 커뮤니케이션, 이강인 하극상이 유출된 경위와 정확한 사실관계 공개 등의 연장 선상에서 봐야 한다.
징계 없이 이강인을 국가대표에 재발탁한 것도 축구팬들의 공분을 사기 충분했다. 이강인이 손흥민을 직접 찾아가 사과를 했고, 손흥민이 이를 받아들이고, 이강인 감싼 장면은 갈등 회복의 가장 모범 답안과 같은 장면이었다.
그러나 문제를 일으킨 점에 대한 최소한의 경고 없이 대표팀에 다시 불러들였다는 점은 대표팀 운영에 대한 체계가 없다는 비판을 받기 충분하다. 가장 인기 있는 국가대표팀인 축구대표팀의 위상에도 어울리지 않는 일처리이다. 규율과 시스템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주먹구구식 운영이라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
따지고 보면 지난해 승부 조작 사건 관여자들의 사면 결정과 이를 취소했을 때부터 축구협회는 체계적이지 못한 조직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풍겼다. 그리고 대한체육회 산하 단체 중 가장 덩치가 큰 조직치고는 위기관리에 대한 인식조차 없다는 것이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협회나 구단 등 스포츠 조직의 위기관리에 대한 연구는 숱하게 진행되어왔다. 현재 축구협회의 상황은 ‘부정편향성이론(negativity bias theory)’ 측면에서 봐야 한다. 사람들은 보통 부정적 정보와 긍정적 정보에 동시에 노출되었을 때 부정적 정보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
스포츠 조직이나 선수와 같은 스포츠 인물에 관련한 부정적인 정보는 어떠한 형태로든 스포츠 조직이나 스포츠 인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를 위기라고 볼 수 있다. 부정편향성이론에 따르면 스포츠와 관련된 부정적인 정보, 부정적인 뉴스 등은 사람들의 주의를 더 불러일으킨다. 이를 적절히 통제하지 못할 때 해당 조직이나 인물, 업계 전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위기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위기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유형에 따라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대응 전략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전략은 ‘충분한 사과(full apology)’, ‘개선행위(corrective action)’ 등이 있다. 반대로 ‘변명(excuse)’, ‘부정(denial)’은 대응 전략으로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다만, 사과와 개선행위에서 중요한 것은 ‘투명성(transparency)’이다. 부정적인 사건 혹은 정보에 대해서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도 물론이거니와 사과와 개선행위에 대해서 투명한 과정, 절차는 핵심이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감독 선임, 이강인 발탁과 관련해서 투명한 절차를 거쳤는지 묻는다면, 축구협회가 뾰족한 답을 내릴 수 있을까.
오히려 축구협회는 위기에 대한 인식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으로 보인다. 그동안 숱한 위기 상황을 겪었을 축구협회이다. 그럼에도 그대로이다. 이 정도면 위기관리라는 개념조차 없는 것으로 봐야 한다. 가장 관심을 많이 받는, 예산이 많은 스포츠 조직치고는 실망스럽다. 학점으로 따지면 ‘F’이다.
SH2C 연구소장(커뮤니케이션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