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내 음원 확보 못하면… '애플뮤직' 꼴 날 수도

윤기백 기자I 2020.11.04 06:00:00

[스포티파이 한국서도 통할까]
빅데이터 분석 통한 '음악 큐레이션' 기대
가사·뮤비 지원 안 해… '반쪽 음원' 지적도
저작권 협상도 난항… 올해 론칭할지 주목

[이데일리 스타in 윤기백 기자] 연내 국내 상륙을 예고했던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Spotify)가 저작권 신탁관리단체와 협상 난항으로 올해 론칭이 가능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스포티파이는 전 세계 음악 스트리밍 시장의 4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글로벌 최대 음악플랫폼이다. 2020년 상반기 기준 전체 가입자수 2억9900만명, 유료 가입자수 1억3800만명을 보유 중이다. 스포티파이는 올해 초 한국지사를 설립, 스포티파이코리아 주식회사(Spotify Korea, Ltd.)라는 명칭으로 지난 7월 말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 제공 업종의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정식 등록했다. 지난 8월에는 자본금을 9억원에서 58억원으로 확충했고, 스포티파이 본사 최고재무책임자(CFO) 폴 아론 보겔 등 국내외 사내이사 2인과 감사 1인을 신규 선임했다. 최근에는 스포티파이 코리아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하고 온라인 광고 대행사를 선정하는 등 론칭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음원수익에 대한 배분 협상은 지지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3일 음원 유통업계에 따르면 스포티파이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등 저작권 신탁관리단체와 음악저작권 계약과 수익 배분에 관해 협상을 벌이고 있는데 음원 가격을 국내 업체들에 비해 낮게 책정하거나 혹은 새로운 징수안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음악플랫폼의 음원 수익은 창작자(기획사+가수+작곡·작사가) 65%, 유통사(음악플랫폼) 35%로 배분하는 방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스포티파이가 한국 가수의 음원을 전 세계에 유통해 주는 역할뿐 아니라 아티스트별 채널을 통한 홍보 효과와 K팝 글로벌 흥행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인정해달라는 상황으로 알고 있다”며 “저작권 협상이 원만하게 이뤄지면 공식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지만, 아직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어 연내 론칭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라고 귀띔했다. 한음저협 관계자는 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자 “스포티파이 측과 의견을 나누고 있지만, 언제쯤 협상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을 아꼈다.

◇스포티파이, 국내 시장 성공 가능성은?

스포티파이의 진출이 성사될 경우 국내 음악플랫폼 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도 관심사다. 스포티파이의 최대 경쟁력인 방대한 음원 확보량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음악 추천 서비스인 큐레이션 역량을 고려하면 한국 진출에 성공할 것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현재 VPN(가상가설망)을 통한 인터넷 우회접속으로 해외망에서 스포티파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 한국 서비스를 정식 론칭하면 이들이 국내 스포티파이 이용자로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요금제도 광고를 기반으로 한 무료 요금제와 광고 없이 음악 감상이 가능한 유료 요금제로 나뉘어 있어 정액제가 부담스러운 학생층 등의 구미를 당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내 음원을 주로 듣는 이용자들에겐 스포티파이가 큰 매력으로 다가오지 못할 것이라는 반대 의견도 팽팽하다. 외국계 음악플랫폼이 국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국내 음원 확보가 우선 과제인데, 과거 애플뮤직이 국내 음원 확보의 어려움으로 실패했던 사례를 보면 스포티파이의 성공 가능성을 장담할 수 없다. 애플뮤직은 국내 저작권자들과 협상에 난항을 겪어 2016년 한국 진출 당시 전체 K팝 콘텐츠의 20%만 서비스한 바 있다.

스포티파이의 대표 서비스인 큐레이션이 국내 음악플랫폼에 이미 도입된 서비스란 점도 매력을 반감시킬 수 있는 요소다. 이마저도 국내 음원이 확보되지 못한다면 결국 반쪽짜리 선택지에서 추천 음악을 골라내야 한다는 점에서 스포티파이의 강점이 제대로 빛을 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스포티파이는 가사와 뮤직비디오를 정식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국내 이용자의 경우 한 음악플랫폼에서 음악 및 뮤직비디오 감상, 노랫말 검색, 커뮤니티, 큐레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스포티파이가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헌식 문화평론가는 “국내 이용자들은 팝송보단 한국 대중음악을 많이 듣는 편”이라며 “스포티파이가 전 세계 음악 스트리밍 시장을 장악하고 있긴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플랫폼을 변경하면서까지 스포티파이를 이용할 것인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