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JTBC 중계권 획득의 의미는

김윤지 기자I 2019.06.10 06:30:00
사진=JTBC
[이데일리 스타in 김윤지 기자]“보편적 시청권 위협.” “‘젊은 올림픽’과 부합.”

확연한 온도차다. 지난 5일 같은 사안을 다룬 다른 뉴스다. 2026~2032년 동·하계 올림픽 한국 중계권을 독점으로 획득한 JTBC로 인해 방송가가 술렁이고 있음을 말해준다. 제 아무리 지상파가 위기라고 해도 올림픽과 같은 국제 경기 중계권은 지상파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졌다. 단독으로 공개 입찰에 참여한 JTBC가 코리아풀(지상파 3사 컨소시엄) 보다 높은 가격을 불러 중계권을 획득하기 전까지 말이다.

지상파 3사는 보편적 시청권의 위협과 국부 유출을 근거로 JTBC를 공격하고 있다. JTBC는 그들만의 논리로 이를 방어하며 “모든 미디어에 재판매 가능성을 열어눴다”고 입장을 밝혔다. 2006년 SBS가 지상파 3사 합의를 깼던 유사한 사례를 떠올리면 재판매 가능성도 높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중재나 JTBC의 제시 조건 등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이번 사안을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받아들인다. TV보단 스마트폰으로, ‘본방송’ 보다 VOD(주문형 비디오)나 스트리밍 서비스로 콘텐츠를 즐기는 시대다. 방송법은 ‘국민적 관심이 매우 큰 체육경기대회 그 밖의 주요행사 등에 관한 방송을 일반 국민이 시청할 수 있는 권리’인 ‘보편적 시청권’을 보장한다. 언제까지 TV가 ‘보편적 시청권’의 기준이 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다.

지상파도 실리를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최근 각종 스포츠 경기 중계권 구매는 사실상 적자로 이어지고 있다. 방송광고 시장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SBS가, 현재는 JTBC가 기존 매체에 도전장을 내밀었듯, 새로운 경쟁자는 언제든지 등장할 수 있다. 그때마다 자존심을 내세워 무리하게 경쟁에 휘말리면 자칫 막대한 손해만 입는다.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동시에 내실을 쌓는 것, 그것이 JTBC를 비난하기 앞서 지상파가 해야 할 일이지도 모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