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터테인먼트 기업 최초로 대기업 지정을 눈앞에 둔 하이브가 핵심 성장 동력으로 내세웠던 멀티레이블 시스템에 발목이 잡혔다. 하이브와 산하 레이블 어도어의 갈등 사태로 멀티레이블의 허점과 한계가 드러난 것이다. 민희진 어도어 대표는 하이브의 또 다른 레이블인 빌리프랩 소속 걸그룹 아일릿을 저격하며 뉴진스를 베꼈다고 주장했고, 하이브는 민 대표가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며 감사에 착수했다. 익명을 요구한 하이브 산하 레이블 관계자 A씨는 “독립 운영을 내세운 멀티레이블 체제가 실제로는 레이블 간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며 “경쟁을 자극하는 구조가 갈등의 씨앗이 됐고 결국 터져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협업 없는 내부 경쟁… 매출 줄 세우기도
“하이브의 멀티레이블 시스템은 특정 아티스트·레이블의 의존도를 줄여 나가고자 각 레이블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레이블 간 경쟁과 협력이 이뤄지도록 설계됐다.”
박지원 CEO(최고경영자)는 지난 2월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엔터테인먼트 기업 최초 매출 2조원을 돌파한 비결로 멀티레이블 시스템을 꼽았다. 공정한 경쟁과 협업을 통해 하이브 산하 레이블들이 건강한 경쟁을 펼치며 매출 상승과 음악적 성취를 함께 이뤄냈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현실은 달랐다. 내부 경쟁은 있지만 협력은 없었고, 지나친 독립 운영으로 레이블 간 불통 사태가 촉발됐다. 하이브 산하 레이블 관계자 B씨는 “아티스트 컴백 시 댄스 챌린지를 위한 협조는 있지만, 전사적 차원 혹은 레이블 간 협력이나 협업은 없었다”며 “오히려 외부 기획사와 협업이 더 많을 정도로 멀티레이블이란 말이 무색했다”고 지적했다.
|
아일릿의 뉴진스 카피 의혹을 결코 가볍게만 봐서는 안 되는 이유다. 민 대표가 이같은 주장을 할 수 있었던 건 단순한 경영자가 아닌 직접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뉴진스 멤버들의 헤어, 메이크업, 스타일링 그리고 앨범 콘셉트, 음악, 뮤직비디오, 숏폼 콘텐츠에 이르기까지 민 대표의 디테일한 손길이 지금의 결과물을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 결과물이 민 대표 및 어도어의 동의 없이 차용됐고, 벤치마킹을 넘어 카피 수준에 이른다고 판단해 문제 제기에 나선 것이다. 민 대표의 행동은 뉴진스 제작자로서, 뉴진스의 원천 IP를 지키기 위한 행동인 셈이다.
하이브 산하 레이블 관계자 C씨는 “아일릿의 티저가 공개됐을 때 내부에서도 반응이 엇갈렸다”며 “민 대표의 경영권 탈취 의혹에 대해 명명백백 조사해야 하지만, 아일릿의 뉴진스 유사성 의혹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밝혀야 내부 분란이 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결국 멀티레이블 시스템은 하이브의 매출 증가 및 외연 확장에 효과적이었지만, 무형 자산 및 개인의 아이디어가 핵심인 엔터업계에 도입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점이 이번 사태를 통해 드러났다. 박 CEO는 사내 서신을 통해 “멀티레이블을 완성해 오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왔지만 이번 사안을 통해 의문을 갖는 분도 있을 것”이라며 “멀티레이블의 고도화를 위해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 것인지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어도어 사태가 하이브의 매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전망이 지배적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멀티레이블 시스템 덕분이다. 특정 아티스트에 대한 의존도가 분산된 만큼 매출 면에서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아티스트 라인업 중 뉴진스가 배제된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올해 매출액 및 영업이익 내 영향은 10%를 밑돌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번 사태가 오히려 멀티레이블 체제의 견고함을 확인하는 기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