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드라마·영화 라인업 발표
카카오, 김성수 전 대표 영입해 도전
CJ ENM, 해외시장 진출 전략 강화
| 넷플릭스를 통해서도 서비스되는 tvN 토일 미니시리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사진=초록뱀미디어) |
|
[이데일리 스타in 김윤지 기자] 콘텐츠 기업 CJ ENM의 아성에 네이버와 카카오가 연이어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네이버는 자회사인 스튜디오N을 통해 2019년 드라마와 영화 10여 편을 공개하겠다고 라인업을 발표했다. 카카오는 콘텐츠 전문가인 김성수 전 CJ E&M(현 CJ ENM) 대표를 내년 1월 자회사 카카오M으로 정식 영입한다고 밝혔다. 카카오M 자회사인 메가몬스터는 MBC 수목 미니시리즈 ‘붉은달 푸른해’를 선보이고 있다. IT기업들이 드라마·예능·영화 제작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셈이다. CJ ENM과 카카오는 음악, 네이버와 카카오는 웹툰 등 중첩되는 분야도 적지 않다. 앞으로 각 기업의 영상 콘텐츠가 어떤 식으로 시너지를 낼지도 관심거리다.
| 카카오M 자회사인 메가몬스터가 제작한 첫 드라마 MBC 수목 미니시리즈 ‘붉은달 푸른해’ 포스터(사진=메가몬스터) |
|
CJ ENM은 해외로 눈을 돌렸다. “앞으로 1∼2년의 글로벌 성과에 그룹의 미래가 달려 있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LA에서 열린 글로벌 경영전략회의에서 한 말이다. 이는 계열사 CJ ENM에도 해당되는 말이다. CJ ENM은 미국판 ‘숨바꼭질’(하이드 앤 식), ‘노, 노, 노, 예스’ 등의 영화를 현지 합작 방식으로 제작, 북미 본토 공략에 나선다. 이미 tvN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등은 글로벌 OTT인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에 서비스된다. CJ ENM이 해외 시장에 힘을 쏟는 데는 국내 시장에서 카카오와 네이버 등 또 다른 경쟁자의 등장뿐 아니라 글로벌 OTT의 흥행 등을 염두에 두고 ‘글로벌 진출 전략’을 펼친 것으로 해석된다.
| 야옹이 작가의 네이버웹툰 ‘여신강림’은 드라마 제작사 본팩토리와 공동제작으로 드라마로 제작된다. (사진=스튜디오N) |
|
영상 콘텐츠 시장에 IT 기업까지 눈을 돌리는 이유는 시너지 창출에 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음성 인식 뿐만 아니라 영상 검색 등이 절실해졌다. 자율주행차의 대중화, 폴더블폰의 상용화 등이 임박하면서 이동하는 차 안에서, 각 개인의 스마트폰 위에서 영상 콘텐츠의 중요성은 더 커졌다. 실제 지난 2016년 4884억원이던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시장 규모는 오는 2020년 7801억원(방송통신위원회 자료)으로 커질 전망이다. CJ ENM이 올해 7월 CJ 오쇼핑과 합병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존 CJ ENM이 보유한 콘텐츠와 오쇼핑의 상품 기획 역량을 모아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다. 라인·카카오 등 모바일 플랫폼과 네이버웹툰·카카오게임 등 방대한 IP는 후발주자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강점이다.
기존 영상 콘텐츠 제작자들은 “새로운 기회”라고 반기는 분위기다. 해외 자본에 대한 대항마로 한국에도 대형 스튜디오나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내년 1월 공개되는 6부작 ‘킹덤’을 시작으로 넷플릭스가 한국 오리지널 드라마를 잇따라 선보인다. 디즈니플러스, 아마존 프라임 등 글로벌 OTT도 준비 중이다.
‘문화가 미래다’라는 CJ의 신념이 지속적인 투자의 원동력이 됐다. ‘새로운 연결, 더 나은 세상’(카카오)라는 IT기업의 속성이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적 투자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할 일이다.
이재원 한양대 겸임교수는 “산업구조의 변화, 영상 콘텐츠의 수요 등으로 인해 기존 문화 중심의 기업에 이어 IT 기반의 기업까지 경쟁에 뛰어든 형국”이라면서 “문화적·산업적 가치를 가진 영상 콘텐츠를 기존 CJ와 네이버, 카카오가 어떤 측면을 중점적으로 바라보는지 접근 방식이 달라 다른 투자 방식, 다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