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호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연금연구센터장은 1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교보생명빌딩에서 ‘이데일리와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함께하는 2018 송년 은퇴콘서트’에서 ‘일본의 과거 20년을 통해 배우는 가계자산운용’이란 강연을 통해 이같이 화두를 던졌다.
박 센터장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도 일본처럼 주요 자산은 부동산에 치중돼 있고 금융자산 축적을 통한 은퇴준비는 취약하다”며 “일본의 과거 20년을 거울삼아 선제적으로 자산구성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와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공동 기획한 ‘일본의 과거 20년이 주는 교훈’ 분석자료에 따르면 일본이 20년 장기불황에 진입하기 직전인 1991년 당시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의 비중은 61.5%, 금융자산은 38.5%였다. 이는 약 26년이 지난 지난해말 기준 한국의 가계자산 구성 비중(62.4%, 37.6%)과 흡사하다. 실물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일본 48.6%, 한국 45.9%로 부동산에 대한 의존도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높다는 점도 비슷하다.
박 센터장은 일본이 1990년대 초 버블붕괴 후 20여년간 저성장·저금리 기조로 장기불황을 거치는 동안 일본 가계가 지나치게 안전자산 위주 운용으로 몰리면서 은퇴자산 축적에 실패했다고 지적한다. 실제 일본의 주식과 부동산 가격은 2000년대 중반까지 10년 넘게 지속적으로 하락했고 예금 금리는 마이너스 금리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는 “일본이 1990년대 중반 고령사회에 본격 진입하면서 생산가능 인구비율과 함께 도쿄·오사카 등 주요 6개 도시 지가가 버블형성 이전 수준으로 폭락했다”며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이 폭증했지만 우리나라도 본격 고령사회에 진입한 만큼 부동산 가격의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대안으로 가계자산 중 부동산 등 실물자산 평균 비중을 현재 62.4%에서 45%로 낮추는 대신 금융투자자산을 지금보다 세 배 이상 많은 30% 수준까지 늘릴 것을 제시했다. 현재는 미미한 연금자산도 전체의 10% 비중까지 확대하는 동시에 활발한 해외 분산 투자를 통해 자산구성 다각화는 물론 높은 기대수익률까지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했다.
박 센터장은 또 “금리를 대체할 안정성과 수익성을 확보한 ‘Income(소득원)투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1996년 일본에서 예금금리와 주식 배당수익률이 역전했다. 한국도 이미 코스피 평균 배당수익률과 은행 예금금리가 비슷한 수준이며 조만간 추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