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2일 정부가 발표한 ‘제3차 국가관광전략회의’가 보여주기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날 발표한 관광정책이 이전 정부가 내놓았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재탕·삼탕의 우려먹기 정책에다 방탄소년단(BTS) 등 K팝 한류 스타 등을 이용한 관광상품 개발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2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제3차 확대 국가관광 전략회의’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회의에 2017년 회의체 출범 이후 대통령이 처음으로 참석했다. 또 이낙연 국무총리와 13개 관광 관련 중앙부처 장·차관, 지방자치단체 부·단체장, 관광 유관기관과 학계 대표, 민간 기업인 등 15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정부는 최근 방한 시장의 더딘 회복 속도에 따른 관광 수지 적자와 관광산업 성장 둔화, 그리고 지역관광 활성화 정책과 국내관광콘텐츠 개발 성과가 여전히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오는 2022년까지 외래관광객 2300만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관광산업 혁신을 통한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세부 추진 전략으로는 ‘지역·콘텐츠·관광산업’ 세 부분의 혁신 등 ‘5대 추진 전략’도 함께 발표했다.
먼저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외래관광객 2300만명을 유치하기로 했다. 이에 정부는 서울과 제주에 이어 세계적인 관광도시로서의 잠재력을 보유한 광역시 1곳을 ‘국제관광도시’로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 또 일정 수준의 기반시설을(인프라)과 관광 매력을 갖춘 기초자치단체를 ‘관광거점도시’(4곳)로 선정해 범부처적으로 지원한다. 정부는 이 도시들을 지역관광 중심지(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4개 지역만 허용한 중국 복수비자 발급도 소득수준 상위 13개 지역으로 확대한다. 여기에 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3개국 단체 전자 비자 제도와 인도 단체비자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가 이날 A4 용지 38쪽 분량으로 ‘관광산업 혁신’을 소개했다. △친절한 국민성 △높은 인지도와 호감도 △K-팝과 K-드라마 △e-스포츠 △압축 경제성장 경험 등도 관광 자산 등 이날 회의에서 등장한 우리나라 관광의 자산이 과거와 비해 과연 ‘혁신’으로 표현할만가도 논란거리다. 모바일·ICT 기술을 접목해 서비스 수준을 높인다거나 스마트폰 하나면 교통·예약·결제까지 해결하는 스마트 관광 인프라 구축이 관광의 미래인지 전문가들의 의견을 엇갈린다. 결국 관광은 볼거리, 즐길거리, 먹을거리를 앞세우는 콘텐츠 전략이 기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가 내놓은 대표 콘텐츠는 DMZ안보관광과 K팝 콘서트 등이다. 한류 대표상품인 K팝을 관광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방탄소년단이 출연하는 ‘K팝 콘서트’ 개최를 지원하고, 내년부터는 대규모 케이팝 축제를 연 2회 정기적으로 개최한다는 계획을 내세웠을 뿐이다.
이날 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관광산업은 경제발전의 핵심 동력이다. 세계 3대 수출산업 중 하나이고, 취업 유발계수가 제조업의 2배가 넘을 뿐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이 우리 제품을 구매하게 만드는 기회”라면서 “이번 회의가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성장과 대한민국 관광산업 흑자라는 목표를 향해 부처 차원의 이해관계를 뛰어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과 교수는 “이번 국가관광전략회의는 사실상 임시적인 회의기구일 뿐, 지속화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면서 “대통령 산하의 관광위원회가 만들어져야만 부처간 협업 뿐 아니라 정책도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