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는 20일(현지 시간)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7% 전망해 지난 3월와 5월 제시했던 전망치(3.0%)보다 0.3%포인트 낮췄다. 내년 경제성장률도 2.8%로 지난 3월과 5월(3.0%)보다 0.2%포인트 낮춰 전망했다.
OECD는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 3.7%로 지난 5월 전망치(3.8%)보다 성장세가 약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3.7%로 지난 5월(3.9%) 대비 0.2%포인트 낮췄다. OECD는 “선진국은 확장적 재정정책·고용 호조가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보이지만 무역분쟁 심화와 불확실성 등은 리스크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또 “신흥국은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되는 가운데, 구조개혁이 지연되면서 성장세가 약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요국 성장률 전망을 살펴보면 주요 20개국(G20) 국가 대부분 전망치가 하향 조정됐다.
미국은 양호한 고용상황, 감세, 재정지출 확대 등이 국내 수요를 견인하며 올해 2.9%로 이전 성장률 전망을 유지했지만 내년은 2.7%로 이전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낮췄다. 특히 투자의 경우 통상분쟁으로 인한 수입품에 대한 높은 관세,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완만한 둔화를 예상했다.
유로존은 산업부진 등으로 영향으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되며 올해 성장률을 2.0%로 이전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췄고, 내년도 1.9%로 0.2%포인트 성장률 전망을 낮춰 잡았다. 독일의 경우 확장적 재정정책 및 소비호조에도 대외수요 부진으로 성장률이 올해 1.9%, 내년 1.8%로 이전 전망치보다 0.2%포인트, 0.3%포인트 각각 낮춰 전망했다.
일본은 최근 확장적 재정기조 완화에도 기업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올해 1.2%, 내년 1.2%로 성장률 전망을 유지했다. 다만 최근 임금 상승의 신호에도 소비 회복은 미약한 수준으로 평가했다.
중국은 투자·신용공급 둔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무역분쟁 영향은 아직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성장률 전망을 올해 6.7%, 내년 6.4%로 유지했다. OECD는 “최근 발표한 통화 완화 등 경기부양책은 디레버리징을 지연시킬 것으로 예상되지만 급격한 경기둔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OECD는 정책 권고로 “경기부양 노력과 함께 정책 불확실성 축소·생산성 증대·포용적 성장·금융 리스크 완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통화정책은 점진적으로 정상화해 나가되, 성장·물가·금융시장 등 국가별 상황을 고려해 경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재정정책은 대다수 선진국의 성장에 기여했으며, 향후에는 중장기 도전요인 대응에 집중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OECD는 “신흥국은 정책 신뢰 회복 및 금융안정성 제고와 함께 장기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부채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생산성을 제고하고, 삶의 질 향상 및 균등한 기회 제공을 위한 구조개혁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