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장관은 13일 농식품부 세종 청사에서의 취임식 후 기자들과 만나 “전 세계가 (개를) 안 먹는데 우리만 계속 먹을 순 없다”며 “빠르면 빠를수록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실적으로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전제 조건도 함께 언급했다. “현재 육견 사업자도 엄연히 존재하고 개를 식용하는 사람도 있는 만큼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전향적인 자세로 하겠다”고 말했다.
◇“동물복지위 위상·기능 강화할 것”
이 장관은 이날 취임사에서도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문화를 조성할 것”이라며 “동물복지위원회의 위상과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었다. 동물복지위는 대통령령에 따라 농식품부 산하에 있는 위원회다. 최근 3년 동안 여섯 차례 위원회를 열었으나 대부분 자문 역할에 그치는 등 유명무실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장관은 취임에 앞선 10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동물복지위가) 일반적인 자문 외에 주요 정책 심의 기능을 가질 수 있어야 정책 목표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화 방침을 시사했었다.
이 장관은 장관 지명 후 앞선 동물 비하 발언으로 곤욕을 치렀다. 지난해 11월 더민주 의원으로서 농림해양수산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동료 의원에게 ‘우리(농해수위)는 다른 위원회와 달리 동물이 반려보다는 팔고 잡아 먹는 데 중점이 있다’고 한 발언이 뒤늦게 알려지며 동물단체의 반대 운동이 불거진 것이다. 이 장관은 지명 이후 청문회까지 수 차례 사과와 함께 이를 해명해야 했다. 이 장관은 이 자리에서도 “커피 한 잔 하면서 가볍게 한 얘기였다”며 “개인적으론 일생동안 개 식용을 한 번도 해본 적도 없다”고 재차 말했다.
그는 또 “축산업도 동물복지형으로 바꾸고 동물보호 수준도 향상할 것”이라며 “동물학대를 방지하고 동물등록제 활성화로 반려동물 유기·유실도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가 집계한 지난해 유기동물은 구조된 마릿수만 10만2593마리였고 이중 주인을 다시 만나거나 입양되는 비율은 절반에 못 미쳤다. 나머지 절반은 자연사하거나 안락사했다.
이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장관직 임기에 대해서도 다음 총선 전까지라고 허심탄회하게 말했다. 현역 의원인 그는 2020년 4월 열리는 다음 총선에 참석하려면 늦어도 1년 반 뒤엔 장관직을 내려놓아야 한다. 그는 “짧은 임기를 길게 채우기 위해 농촌 직불제 개편 같은 좋은 비전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대북 쌀 지원 질문에 대해선 “정부 차원에서 방향이 설정되면 거기에 맞춰가겠다”고 원론적으로 답변했다. 그는 그러나 “직접 소관은 아니지만 산림문제는 국제 대북 경제제재와 무관하기 때문에 전향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40세 이상 청년농 10년 내 1→2%로”
이 장관은 그 밖에도 청년 농업인 양성을 중심으로 한 앞으로의 농정 목표와 방침을 전했다. 청년농업인 양성으로 40세 이하 청년농을 10년 내 현 1%에서 2%까지 높이겠다는 게 이 장관의 목표다.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청년창업농 1200명을 선발해 3년 동안 월 최대 100만원의 정착지원금을 주기로 했다. 또 올 상반기 일자리·지역 추경을 통해 이 규모를 1600명으로 확대했다. 이 장관은 이를 확대하고 전북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식품 벤처기업도 육성한다.
이 장관은 또 쌀 중심이던 직접지불제(직불제·정부 농가 보조금)를 공익형으로 전면 개편키로 하고 올 연말까지 대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기초소득보장제, 농민수당 등 의견도 검토한다.
농산물이 제값을 받도록 가격을 안정시키고 가격 급락 땐 정부가 농가 적정 소득을 보장하겠다는 목표도 밝혔다. 농산물은 가격이 너무 오르면 전 국민의 밥상 물가에 부담을 주고 가격이 내리면 농가 소득에 타격을 주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 이 장관은 “농업인이 생산한 농산물을 제값 받고 파는 건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필수조건”이라며 “농산물이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내 결정 예정인 2018~2022년 쌀 목표가격에 대해서도 “농업인 눈높이에서 물가상승률 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재설정하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이 의원 시절 주장했던 밥쌀 수입 중단에 대해서도 “농업인 정서를 고려해 대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쌀 시장 개방을 막는 과정에서 매년 일정 물량의 쌀을 5%라는 낮은 관세로 들여 와야 했는데 이게 밥쌀 4만t을 포함해 41만t(나머지는 가공용)으로 늘어난 상황이다. 미국은 오히려 쌀 수입을 늘리라며 압박하는 어려운 난제다.
이 장관은 그 밖에도 종자, 바이오, 신소재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의 융합에 대한 투자, 기후변화 대응 중장기 계획 수립, 마을기업, 농촌공동체 회사,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주체 육성 등을 과제로 꼽았다.
이 장관은 “농업인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농업인의 편에서 고민하는 게 문재인 정부가 지향하는 새로운 농정의 핵심”이라며 “과거 농정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오늘의 농업·농촌 문제를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