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원희룡 "의사하기 싫으면 하지 마, 다른 분들이 채우면 돼"

김혜선 기자I 2025.03.19 21:16:33

의정갈등에 전공의, 의대생 등 비판
"어려울 때일수록 원칙대로 가야"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최근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 확대를 철회했음에도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정 의사 하기 싫으면 하지 말라고 이제 분명히 말해 줄 때가 되었다”고 직격했다.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19일 원 전 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현재의 의료체계에는 필수의료가 내팽개쳐지는 왜곡이 있다. 이를 바로잡으려는 의료개혁에 극렬 저항하는 전공의, 의대생들에게 계속 끌려갈 수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원 전 장관은 “의료계의 과반 참여를 보장하는 의사 수급체계 결정 방식을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정 의사 하기 싫으면 하지 말라고 이제 분명히 말해 줄 때가 되었다”며 “여전히 대다수의 의사들은 묵묵히 환자들을 돌보며 헌신하고 있다. 정부와 사회는 이들을 보고 가야 한다”고 했다.

이어 “남아 있는 사람들과 무엇을 어떻게 바꾸고 개선해 나갈지 머리를 맞대야 한다”며 “환자 목숨을 틀어쥐고 선동과 협박을 하는 자들에게는 의사 되지 않을 자유를 주고 각자 새로운 인생을 살 기회를 줘야 한다”고 전했다.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며 강경 대응을 유지하고 있는 의대생에 ‘제적’이라는 강경 카드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의도로 읽힌다.

원 전 장관은 “그들의 빈자리는 의사 역할 제대로 잘 해보겠다는 새로운 사람들과 다른 의료직역에 있는 분들이 채우면 된다”면서 “어려울 때일수록 원칙대로 가는 게 맞다. 그래야 문제가 결국 해결된다”고 전했다.

한편, 최근 의대가 있는 대학 총장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오전 회의를 열어 의대생 복귀를 위한 추가 대책과 미복귀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서 의총협은 ‘집단 휴학’은 수용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집단성이 다분한 휴학계는 즉각 반려하는 한편 미복귀 의대생에게 유급 또는 제적 조치가 필요한 경우 다른 단과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학칙을 엄격히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의대생들이 제적될 경우 빈 자리를 일반 편입학으로 충원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정부측에서는 의대생 복귀 ‘마지노선’을 3월 말로 보고 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