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정 전 실장 측은 이 대통령의 재판이 중지된 상태에서 자신의 재판만 재개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재판 정지를 요구했다. 정씨 측은 “수사의 출발부터 모든 참고인 진술 내용이나 증거들이 결국 이 대통령을 정점으로 하는 구조”라며 “전체적 진실을 규명하려면 이재명 측의 적절한 반박과 탄핵이 함께 병행돼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정진상의 재판절차 역시 정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검찰은 “공동피고인인 정진상에게는 재판을 중단할 법적 사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정진상의 경우 재판을 진행하기로 재판부에서 합의한 상태”라며 선을 그었다.
이날 재판에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에 대한 증인신문이 예정돼 있었지만, 유 전 본부장은 안정이 필요하단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고 나오지 않았다. 또 재판부는 검찰 측이 증인신문이 필요하다고 밝힌 이들 중 85명에 대해 증인으로 채택했다. 이재명 대통령에 대해서는 증인 채부(채택·불채택) 결정을 보류하기로 했다.
향후 재판 일정과 관련한 양측 공방도 벌어졌다. 재판부가 “앞으로 매우 화요일, 격주 금요일 재판을 진행하려 한다”고 밝히자, 정씨 측은 “변호인도 절반 이상 축소된 상황이어서 증인신문 등을 따라가려면 적어도 격주에 한 번 재판을 진행했으면 한다”고 반대했다.
이에 검찰 측은 “재판 진행 중 한 명의 피고인이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재판이 정지된 것 외에 다른 변동 사유는 없다”며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종전보다 재판이 더 천천히 진행돼야 한다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일단 다음 기일만을 오는 21일로 지정하고, 백현동 사건에 대한 검찰 측의 공소 유지 진술 후 대장동 민간업자였던 남욱 변호사를 상대로 한 증인신문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