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이데일리가 인사혁신처 ‘보수결정요소에 대한 연혁 및 사례조사 연구용역 제안요청서’를 확인한 결과, 인사처는 민간기업·공공기관·외국정부 사례를 검토해 공무원 임금 결정방식을 손보기로 했다. 인사처 관계자는 “임금인상률 결정, 임금제도 변경 시 노사 간 의견조정과 합의도출 사례를 조사해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인사처는 민간 기업의 임금결정 방식을 참고한다는 계획 아래 주요 기업의 임금 결정요소·기준·방식 및 임금·단체협약을 살펴보기로 했다. 해외 선진국들의 공무원 임금인상률 동향과 임금 결정과정에서 의견조정 절차도 참고해 반영할 계획이다.
현재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노조,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결정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경기 부진 등 외부 변수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경제성장률이 2018년부터 하락해 피치 등 해외기관은 올해 한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할 것이란 비관적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와 공무원노조는 올해 임금 인상률을 문재인 정부 출범 후 가장 높은 2.8%로 합의했다. 최저임금의 큰 폭 인상으로 공직사회와 소득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결과 공무원 평균 월급(작년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은 530만원, 연평균 6360만원(세전 소득)으로 올랐다. 민간(작년 100인 이상 민간기업 사무·관리직) 대비 공무원 임금은 86.1%로 2009년(89.2%) 이후 10년 만에 최대 수준이다. 각종 수당과 공무원연금 등을 감안하면 생애총소득에서 민간을 넘어선 지 오래다.
특히 올해는 사상 최악의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이어서 10년째 이어진 공무원 임금인상 행진에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임금동결 가능성에 대해 “경제가 어려운 때 공무원들이 솔선수범해왔다”며 “공직자들이 앞장서 국민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무송 금강대 공공정책학부 교수(전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는 “실업 대란이 왔는데 공공부문은 무풍지대”라며 “공무원부터 임금 안정화 협약을 맺어 국민 고통을 분담하고 위기극복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