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중국發 산업 빅뱅, 한국 투자자도 주목해야 할 이유는…"[주톡피아]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신하연 기자I 2025.07.17 16:59:31

신형관 중국자본시장연구소 대표 인터뷰
민영 테크기업 약진…"산업 전체가 바뀌는 중"
반도체·휴머노이드 등 첨단 분야 기술 자립 가속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중국은 이미 어떤 국가나 경제체도 대체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한 산업을 갖춰가고 있는 나라입니다. 지금은 과거를 기준으로 중국을 평가할 게 아니라, 구조 변화의 흐름을 읽어야 할 시점이에요.”

신형관 중국자본시장연구소 대표.
20여년간 중국 자본시장을 지켜봐 온 신형관 중국자본시장연구소 대표는 17일 이데일리 유튜브 채널 주톡피아에 출연해 “지금의 중국은 2020년 이전과는 버전이 전혀 다른 나라”라며 “산업이 바뀌고 있고, 투자 관점에서도 완전히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신 대표는 최근 몇 년간 중국 산업 구조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30년 동안의 지켜봐 온 변화보다 최근 3~5년, 짧게 보면 1년 사이의 변화가 더 크다”며 “이전에는 국유기업 중심의 전통경제가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민영기업(PoE)들이 리드하는 ‘신(新)경제’가 중심”이라고 말했다.

올해는 중국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제조업 고도화 전략 ‘중국제조2025(MIC 2025)’ 10주년을 맞은 해다. 중국은 반도체, 로봇 등 핵심 분야에서 빠르게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신 대표는 “제가 학점을 주는 교수라면 (MIC2025에 대해) A-를 줄 것”이라며 “10개 과목 중 8개는 A 이상, 2개는 B+ 수준이며 과락은 없다”고 평가했다. 그 중에서도 반도체, 신에너지, 로봇 등 핵심 산업 분야는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테마”라고 강조했다.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해서도 “화웨이의 어센드 910·920 같은 대체 칩이 등장하면서 미국이 결국 엔비디아의 H20 수출을 다시 허용했다”며 “일부 영역에선 미국과의 기술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 전략으로는 “중국 정부가 강하게 밀고 있는 산업 중심으로 보되 간접 투자 방식으로 접근하는 게 유리하다”며 “중국 본토 상장주식은 정보 비대칭이 커서 한국 투자자들이 직접 대응하기 어렵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홍콩시장에 상장된 테마형 종목만 따라가도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주목할 투자 테마로는 ‘피지컬 AI’를 꼽았다. “중국은 이미 휴머노이드 로봇에 들어가는 모터, 스크류, 관절 같은 부품들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다”며 “완성기 로봇은 아직 시간이 필요하지만, 관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 경쟁력은 매우 강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중국 경제를 둘러싼 구조적 우려에 대해서도 지나친 비관론을 경계했다. 그는 “중국의 부동산 문제나 소비 둔화 등 리스크는 오래된 이슈지만, 그럼에도 산업은 앞으로 전진하고 있다”며 “중국은 위기를 국가 주도의 구조 개편으로 넘기는 시스템을 갖춘 나라”라고 평가했다. 이어 “최근의 정책 흐름은 제조업과 기술 산업 중심의 구조적 대응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 주목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신 대표는 “중국은 랩(Lab)에서 팹(Fab)으로, 팹에서 샵(Shop)으로, 샵에서 홈(Home)으로 이어지는 생산과 소비의 전 주기를 이미 시작한 나라”라며 “과거의 편견을 버리고 산업 구조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본다면, 중국 시장은 여전히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조언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