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장관은 1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 참석해 “지금 이 순간이 나에겐 오지 않는 순간처럼 살아왔다”며 “35년 가량 어려움도 있었는데 사고 없이 이임식까지 하고 떠날 수 있어 다행”이라고 술회했다.
|
지난 2019년 8월 30일 농식품부 장관으로 취임한 김 전 장관은 1000일 가까이 자리를 지키며 농정 전반을 책임졌다. 2017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농식품부 차관을 지내는 등 문재인 정부 임기 대부분을 장·차관으로서 업무를 맡았다.
김 전 장관은 당시 취임사를 통해 “농업·농촌과 식품 산업이 직면한 도전을 극복하고 농업인도 공익적 가치를 창출하는 역할과 책무를 다하는 당당한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사람 중심의 농정 개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일성했다.
하지만 취임 이후 곧바로 위기가 발생했다. 김 전 장관은 이임사에서 “취임하고 보름여만에 ASF가 터졌다”며 당시 방역 위기 상황을 떠올렸다. 2019년 9월 국내 최초로 발생한 ASF는 폐사율이 100%에 가까운 전염병으로 양돈업계를 공포에 떨게 했다.
김 전 장관이 차관으로 있던 2017년에도 살충제 계란 파동이 일어 큰 사회 이슈가 되기도 했다. 농식품부는 ASF와 살충제 계란 사태 모두 비상근무에 들어가며 위기 극복에 노력했다.
김 전 장관은 “리더는 위기 (발생) 중간에 들어가서 핵심을 파악하고 정리해야 위기가 정돈된다”며 “절대로 터지면 안된다고 생각한 ASF 같은 (위기가) 터졌을 땐 우왕좌왕하지 말고 합리적으로 판단해 (의사) 결정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ASF 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김 전 장관은 인근 지역 살처분 등 강력한 방역 대책을 실시하며 빠르게 위기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당시 ASF는 한달여간 돼지농장에서 발생하다가 발생이 뚝 끊겼고 이후 간헐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병원성 AI 역시 질병관리등급제를 도입하는 등 체계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지난 겨울철 피해 규모가 크게 줄어드는 성과를 입기도 했다. 방역 대책을 꼼꼼히 살피며 일선에서 진두지휘한 김 전 장관의 공이 크다는 평가다.
그는 “(위기 극복) 면에서 농식품부의 노하우가 상당히 세다”며 “위기는 계속 오지만 언제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농식품부를 이끌면서 공익직불제의 도입과 농지법 개선 등은 성과로 들었다. 김 전 장관은 “직불제도 그렇고 농지법을 준비하던 중 ‘LH 사태’가 터져 농지법이 수월하게 통과될 수 있었다”며 “오랜기간 준비한 과제들은 (언젠간) 이뤄지는 만큼 꼭 해야 하는 것은 그만큼 준비를 철저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농식품부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을 탄탄히 갖출 것을 주문했다. 김 전 장관은 “보조금을 얼마 주고 금리를 얼마를 하고 (지원하는 방식의) 정책을 계속해선 안된다”며 “각 국은 제도적 기반을 충분히 갖고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농식품부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과 의사소통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김 전 장관은 “국회 (업무에) 대응하면서 주변을 배회하는 일 없이 업무가 정상적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소통을 자연스럽게 하면 어디 가서도 해당 업무에 대해 자연스럽게 얘기할 수 있는 지식 기반이 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