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최근 지속가능연계채권(Sustainability linked bond)과 트랜지션 본드(Transition bond) 등 환경이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 발행하면서도 자금을 유연하게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채권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지속가능연계채권으로, 채권을 찍어서 조달한 자금을 특정한 용도로 쓰지 않아도 되며 채권에 붙는 쿠폰금리 등 조건이 나중에 바뀔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작년 10월에 부동산 회사인 퓨릭이 가장 먼저 발행한데 이어 12월에는 부용종합리스도 발행에 나섰다.
그린본드나 소셜본드는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이나 코로나19 대책 지원 등과 같이 채권 발행 이전에 미리 정한 사업에만 조달한 자금을 쓸 수 있다는 제약이 따라 붙기 때문에 발행규모를 늘리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지속가능연계채권은 조달 자금의 용도가 원칙적으로 일반 회사채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다른 점은 사전에 환경이나 사회문제와 관련해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한 뒤 그 도달 상황에 따라 채권 조건이 달라진다는 것.
일례로 퓨릭의 경우 ‘2025년까지 회사가 사용하는 전력을 모두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 채권의 이자율은 애초 0.44%로 설정됐지만, 사측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2026년부터 금리는 0.54%까지 높아지도록 설계됐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자를 더 지급해야 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환경 목표를 달성해야 할 인센티브가 되는 셈이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가능연계채권을 발행했던 부용종합리스의 미즈타니 고 CSV 추진실장은 “용도가 한정되는 소셜본드에 비해 사용이 자유로워 사회공헌사업에 주력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환경이나 사회적 목표 달성이 그 기업에게 있어서 얼마나 어려운지, 또 그 목표 달성이 사회에 얼마나 유익한 것인지 외부에서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는 있다. 또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때 이자율이 높아지는 만큼 기업 측에서는 달성이 쉬운 목표를 세울 수 있는 유인이 된다. 에나츠 아카네 노무라금융그룹 지속가능연구센터장은 “목표를 가능한 한 표준화하고 기업마다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앞으로의 숙제”라고 지적했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금리가 오르는 구조라 환경이나 사회문제 해결을 바라고 투자하는 투자자들로서도 문제 해결과 (금리 상승에 따른) 수익 개선 사이에서 고민이 생길 수 있다. ESG 전문 자산운용사인 영국 어퍼머티브 인베스트먼트의 스티븐 피츠제럴드 공동창업주는 “반대로 목표를 달성하면 이자율을 낮출 수 있다는 보상형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하나 새로운 ESG관련 채권은 트랜지션 본드로, 당장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등 환경 목적으로 자금을 조달하지 않더라도 추후 그린 비즈니스로 전환하고자 하는 기업이 사업 전환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일본에서는 경제산업성이 채권 발행구조를 설계하고 있어 내년부터 본격 발행이 기대된다. 당장 온실가스 감축이 어렵지만 그린 비즈니스를 위한 연구개발(R&D) 등에 투자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는 기업들이 주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마 신이치로 일본생명 재무기획부 과장은 “그동안 그린본드나 소셜본드를 발행하지 못했던 기업들이 지속가능연계채권이나 트랜지션 본드를 발행하기 시작하면 ESG 관련 채권시장이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