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종우 경희대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공중보건 위기에 따른 정신건강 및 사회심리 영향평가’ 1차 연구결과를 19일 공개했다.
조사는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전국 광역 시도 거주 성인과 14세이상 청소년 등 총 1150명으로 대상으로 이뤄졌는데, 소득이 낮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해 극심한 우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월수입 150만원 미만과 300만원 미만 집단에서 중증이상 우울 위험군에 포함되는 비율은 40.7%, 36.5%로 집계됐다. 500만원이상~800만원 미만, 800만원 이상 집단에서는 중증이상 우울정도가 21.4%, 16.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질병 취약성 인식 평균점수는 월소득 800만원이상 집단에서 2.6점(5점만점)이었고, 150만원이하 집단에서는 2.9점을 기록했다.
연구에 참여한 박한선 박사(서울대 인류학과)는 “저소득자일수록 우울 정도가 심해 질병에 대한 불안감이 더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며 “소득이 낮을수록 건강관리가 어려워 앓는 질병이 많아지기도 하고, 질병을 이유로 직업 선택이 제한돼 소득이 낮아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정신적 어려움을 해결할 방법으로 가족의 지지(70.1%), 경제적 지원(45.0%), 코로나19 관련 정보전달(42.5%) 등의 응답이 나왔다면서 이같은 사회심리학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