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이웃나라인 중국과 일본은 일찌감치 이 지역을 눈여겨 보고 적극적으로 진출해 뿌리를 내린 상태다. 일본은 과거 태평양 전쟁 시기부터 진출해 태국, 인도네시아 쪽에서 주도권을 잡고 있고, 중국도 아세안 지역에 꾸준히 투자해 2010년대부터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베트남 등 아세안 5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자리잡았다.
아세안 지역 대사를 역임한 전직 외교관은 “다소 늦었다고도 볼 수 있지만 지금이라도 정부가 신남방정책으로 이 지역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며 “중국과 일본이 이미 진출해 있어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더 늦기 전에 우리 자리를 확보해야 한다. 시대의 흐름을 잘 포착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신남방 정책 본격화…풍부한 성장동력 부각
그동안이 신남방정책을 홍보하고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예열’의 시기였다면 정부는 올해를 ‘신남방 정책’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문 대통령이 올해 첫 해외 순방으로 선택한 곳이 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이라는 점은 정부의 이같은 의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행보다. 올해 말에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정부가 이처럼 신남방 지역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높은 성장성에 있다. 이 지역은 평균연령 30세, 총 인구 20억명, 소비시장 성장률이 연평균 15%에 달할 정도로 젊고 역동적인 시장이다. 경제 성장의 주축인 중산층 인구도 급성장세여서 투자 가치도 높다는 평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오는 2030년에는 세계 중산층 소비의 59%가 동남아 지역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성장성은 성장 동력 고갈로 저성장의 길로 들어선 한국에는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내수시장은 물론 기존 수출시장에서 더 이상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에는 그야말로 ‘오아시스’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아세안 지역은 우리의 2위 교역·투자 대상이고, 인도는 수출액 기준으로 7위로 올라섰다.
|
◇ 외교·안보 중요성도 증가…인적교류 확대로 토대 마련
한 정부 관계자는 “아세안 국가 외교를 주요 4강수준으로 격상하고 내년까지 교역 규모를 대중국 교역 수준인 2000억달러로 확대하는 게 목표”라며 “올해 안에 대통령의 아세안 10개국 순방과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등의 정상 외교를 통해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뿐 아니다.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안착을 위해서는 신남방 국가들의 지지와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현정부의 인식이다. 국방·방산 분야에서의 협력과 사이버·테러 등의 안보 분야, 해양 쓰레기 등 환경 분야에서의 공동 대응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이같은 협력과 성장의 밑바탕을 만드는 인적 교류 확대도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정부는 관광·문화교류를 확대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높이는 각종 사업들을 추진해 파트너십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