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도통신·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아카자와 경제재생상 보고를 받은 뒤 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졌고 다음으로 이어지는 협의가 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미국과의 협의가 “쉬운 협의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적절한 시기에 방미해 정상 간 직접 교섭을 진행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첫 관세 협의를 위해 워싱턴DC를 방문,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약 50분간 면담하고, 미 재무·상무장관,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도 약 75분간 회담을 진행했다.
일본 외무성에 따르면 양측은 이달 중 추가 협의를 열기로 조율 중이며, 실무급과 장관급 협의를 병행해 조기 합의를 목표로 한다.
이번 회담에서 미국 측은 관세 외에도 방위비 분담, 자동차 수입 확대, 무역적자 해소 등 현안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아카자와 장관과의 면담에서 주일미군 경비 분담금 인상, 미국산 자동차 판매 확대, 무역 불균형 해소 등 세 가지 사안을 핵심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전 본인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에 “일본이 관세, 군사지원비, 무역 공정성을 협상하러 온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를 두고 교도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일안전보장 조약에 대한 불만을 표하며 방위비 부담 확대를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국내 정치권 반응은 엇갈렸다. 자민당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은 “1차 협상으로는 성공적”이라고 긍정 평가한 반면, 입헌민주당 오구시 히로시 대표 대행은 “안보 이슈까지 협상 테이블에 오른다면 현 협상 체제의 기능에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시바 총리는 이달 초 여야 대표 회의에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교섭 의지를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