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8일 러시아산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 금지를 발표하면서 석유 업계를 향해 “러시아의 침략은 우리 모두를 희생시키고 있다”며 “그리고 지금은 이익, 폭리를 취할 때가 아니다”고 한 데 대한 반응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위기 등에 유가가 불안정한 시기, 석유 기업들이 힘을 모아 원유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고 주문하며, 이처럼 석유 업계를 몰아세웠다.
미국 정부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응징하기 위해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꼽히는 원유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렸따. 전 세계 하루 석유 공급량의 7%를 담당하는 러시아 원유 공급이 중단된단 우려에 국제유가는 급등했다. 지난 6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장중 최고 130.50달러를 터치, 2008년 7월 이후 최고가에 도달했다.
|
그간 이처럼 석유 기업을 쪼그라들게 했던 바이든 정부가 이제와서 “폭리”를 운운하며 석유 생산량 확대를 요구하자, 업계에 불만은 폭발한 것이다. WSJ는 석유 업계가 화석 연료 사용을 지양하고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꾀하는 바이든 행정부가 “필요할 때만 손을 뻗어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고 하는 등 불만이 극에 달해 있다고 전했다.
업계는 임시적인 석유 생산 확대보단,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전환 과도기에 석유 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정하고 그간 떠났던 월스트리트의 투자자금이 다시 돌아오게끔 하는 등의 근본적인 조치를 원하고 있다. 서머즈 소장은 “산업과 월스트리트는 모두, 백악관이 지금의 위기에 더 많은 석유가 생산되길 원한다는 신호를 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석유 업계가 정부 요구를 받아들여 원유 공급을 늘린다 해도, 에너지 가격 안정이 담보된 것은 아니라는 관측도 나온다. 원유 공급을 늘려도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후 폭발하는 수요를 따라잡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WSJ는 “미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전략적 비축유를 2번 풀고 거래를 끊었던 베네수엘라 등과 원유 수입을 타진하고 있는 등 석유 공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국가의 에너지 안보를 대체할 순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