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중소형 PE 관계자는 “MBK파트너스를 둘러싼 사건 이후 금융위가 규제를 강화한 건 대형사를 겨냥한 조치로, 중소 운용사들 입장에선 체감하기 어렵다”며 “실제 펀딩에 영향을 주는 건 은행권의 내부 자본 규제 변화”라고 말했다.
은행권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건전성 제고에 나서며 RWA 관리에 집중해왔다.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은 자기자본을 RWA로 나눈 값으로, RWA가 높을수록 해당 비율이 낮아진다. 지난해 4분기 국내 은행들의 자본비율이 악화된 배경에는 계엄정국 장기화에 따른 환율 리스크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RWA 항목인 대체투자는 은행권의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고 있다. 금융권 전반에서 대체투자 축소 기조가 이어지며, 캐피탈 및 보험사 등 비은행권도 대체투자 규모를 대폭 줄이는 상황이다. 사실상 대체투자 시장의 자금 유통 경로가 급속히 좁아진 셈이다.
그러나 최근 금융당국이 RWA 제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업계에선 기대감이 피어오르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은행 건전성 규제 개선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으며, 빠르면 3분기 내 개선안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향후 증권업까지 제도 개편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특히 지난 9일 발표된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방안’에서 금융위는 “바젤 기준을 준수하면서도 은행지주 연결 BIS비율 산출 시 증권업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업권별 특성을 감안한 RWA 기준 차등 적용 가능성으로 해석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TF를 통해 RWA 관련 검토를 시작한 것은 맞지만 아직 초기 단계”라며 “해외 사례와 국내 여건을 비교하면서 신중하게 접근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