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장관의 발언은 방한 중인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회담 직후 언론에 회담 결과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는 그러면서 “북측은 2018년 9월 남북 정상이 합의한 대로 한반도를 핵무기와 핵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어가기 위한 우리 노력에 계속 함께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 미사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다만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모든 관련국들이 군비 경쟁과 모든 종류의 군사 활동 활성화를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직접 북한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로 한반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이것이 남북은 물론, 미중의 군비경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쌍중단’ 방식을 통한 북핵 해결방식을 중국과 함께 제안하고 있다. 북한이 추가 핵실험과 미사일 실험을 중단하겠다고 밝히면 한미 양국도 연합 군사훈련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1단계 조치를 취하고 2단계로 북미, 남북한이 직접 대화로 상호 관계를 정상화하고 3단계로 다자협정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동북아 지역 안보체제 등을 이룩하자는 구상이다. 우리 정부와 미국 정부는 이같은 방안을 공식 거부한 바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중 관련 발언은 나오지 않았다. 이번 라브로프 장관의 방한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맞아 열리는 ‘상호교류의 해’ 개막식 참석차 이뤄진 것이지만 미중 갈등이 격해지며 국제정세가 급변하는 시기를 맞물려 눈길을 끌었다.
특히 라브로프 장관이 방한 전 중국에 들려, 왕이 외교 담당 국무위원 및 부장과 회담을 하고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등 밀착 행보를 보이자 러시아가 대미 전략과 관련된 메시지를 가지고 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그러나 이날 회담에서는 러중 회담과는 달리, 공동성명은 발표되지 않았다. 대신 양 장관이 각자 회담 결과를 발표하는 식으로 갈음됐다. 질의응답 시간 역시 없었다.
이에 대해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라브로프 장관의 방한은 공식 방한이 아닌 실무 방한”이라고 설명했다. 질의응답 시간이 없었던 것 역시 코로나19 등에 따른 방역차원이란 설명이다.
다만 회담 이후 정 장관은 라브로프 장관 등을 비롯한 러시아 외교사절단들과 오찬을 했다. 이 과정에서 회담에서는 북한을 비롯한 한반도 정세, 미중 갈등을 비롯한 국제정세 논의 등 다양한 얘기가 심도깊게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