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 북미 정상회담까지 불과 9일을 남겨둔 18일까지도 북한 매체들이 ‘하노이 회담’에 대한 보도를 꺼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 실무자들이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해 의전·경호에 관한 사항을 점검할 정도로 회담 일정이 목전에 닥쳤지만 정작 내부적으로는 이를 함구하는 분위기다.
지난 1차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당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일정까지도 세세히 보도하면서 역사적 북미 정상간 만남에 분위기를 띄웠다. 심지어 회담을 2주 가량 앞두고는 “김정은 위원장이 6월 12일 예정되어있는 조미 수뇌회담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피력했다”며 이례적으로 김 위원장의 일정을 사전 공개하기도 했다.
그러나 1차 북미 정상회담은 사실상 ‘상견례’ 수준에 그쳤다. 핵·미사일 폐기에 대한 의지로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한 북한은 동창리 미사일 실험장의 폐쇄도 꺼내면서 의지를 보였지만 결과적으로 스스로 바랐던 제재 완화에는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다. 소문 낸 잔치에 먹을 것이 마땅치 않았던 셈이다.
이번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역시 북미간에는 북한의 ‘비핵화 수위’와 ‘제재 완화’가 핵심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평양 연락사무소 개설이나 종전선언 등 상응 조치 카드를 넘어 제재 완화 카드를 꺼내려면 이른바 ‘영변 핵시설 폐기’에 ‘+α’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북한은 ‘제재 완화’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해석은 북한 매체들의 보도에서도 유추가 가능하다. 북한의 대외 선전매체 ‘메아리’는 자신들의 조치에 대해 “항구적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국제사회 앞에 지닌 중대한 책임을 다하려는 전략적 결단”이라고 평가하면서 “이제는 미국이 화답해 나설 차례이라는 것이 국제사회의 한결 같은 목소리”라고 미국의 상응 조치를 촉구했다.
북한은 지난달 24일 조선중앙통신이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의 방미 일정을 소개하면서 “제2차 조미수뇌상봉”을 언급한 것이 전부일 만큼 내부 단속에 신경을 쓰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북미간 뚜렷한 합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말을 아끼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 위원장의 의전을 담당하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이 삼성전자 생산 공장이 소재한 베트남 박닌 지역을 둘러본 것으로 전해지면서 김 위원장의 베트남 동선에서도 이 같은 의지가 엿보인다. ‘전략적 결단’에 포함된 경제개발 총력 노선을 위해서는 북한에도 베트남식 개혁 개방정책인 ‘도이머이’ 정책이 필요하다. 베트남 경제 성장 과정에서 한국의 역할은 추후 본격적 남북 경제협력 시대가 열리면 북한 내부에 청사진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