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FT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 과거 재난을 교훈삼아 위기대응 체질을 바꿨고, 그 덕에 코로나19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는 데 주목했다.
한국은 검체검사 역량과 확진자 실시간 안내서비스, 의료 인프라 등이 강점으로 꼽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벤치마킹하겠다고 밝힌 ‘드라이브 스루(drive-through)’ 기술이 대표적. 스마트폰에 실시간 전송되는 재난문자와 지역별 확진자 공개 시스템 등은 방역 확산에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최소 27만건의 검체검사를 실시했으며, 정부 당국과 지자체에서는 실시간으로 재난문자를 보내고 정기 언론 브리핑을 진행했다.
감염병 등 사회재난 관련 정책기반이 마련되고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협조한 점도 한국 모델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으로 언급됐다. 새로운 테스트 키트를 개발하려면 복잡한 규제를 통과해야 하는데, 메르스 유행 이후 규제정책이 일부 완화돼 신청부터 시판까지 2주 정도면 가능하다.
한국의 시민의식에 대해 FT는 “시민들이 마스크 착용이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상식’으로 받아들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이 때문에 정부가 권위주의적으로 통제할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
|
해외 수출을 금지하고 IT기술을 적극 활용한 대만의 마스크 유통 모델도 언급됐다.
이밖에 일본은 남에게 피해주기 싫어하는 관습과 마스크 착용 문화가 정착돼 있다는 점, 홍콩과 싱가포르는 초기에 휴교령을 내리고 상점 폐쇄조치를 시행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싱가포르는 격리조치를 어길 경우 강력하게 처벌하는 법 조항을 두고 있다.
데일 피셔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는 “서양의 선진국들은 이미 충분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서양과 아시아의 가장 큰 차이는 ‘경험이 있고 해냈다는 것’에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