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U, 상호관세까지 종합 대응책 시사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이 유럽 자동차 수출품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우리는 이번 발표와 함께 미국이 구상하고 있는 다른 조치들을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는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면서 협상을 통한 해결책을 계속 모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현재 마로시 셰프초비치 유럽연합(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이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머물고 있다. EU는 미국과 협상 결과, 트럼프 대통령이 거듭 예고한 내달 2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응 방안을 결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 加 총리 “노동자 향한 직접적 공격”
캐나다는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가 “캐나다 노동자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보복 관세를 시사하면서 “강하게 헤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의 40% 인구가 거주하는 온타리오의 더그 포드 주지사도 미국 관세 정책이 미국 가계의 비용 증가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연방 정부가 보복 관세를 준비하는 것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우리가 결코 물러서지 않을 것임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이날 백악관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는 자동차 부품은 당분간 관세가 면제된다고 밝혔으나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는 캐나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엔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캐나다의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은 약 12만5000명을 직접 고용하고 캐나다 제조업 생산량의 약 10%를 차지한다. 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부품의 약 80~90%가 수출된다.
자동차 제조업이 국가 경제 활동에서 중요한 일본도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다. 특히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과 일찌감치 만나 각종 ‘선물 보따리’를 선사하기도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27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적절한 대응을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25% 자동차 관세가 일본에 적용하지 않도록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또한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면서 “미일 양국의 경제 관계와 세계 경제, 나아가 다자간 무역 시스템 전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도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중국 상무부는 전날 미국 정부가 다수 중국 기업을 블랙리스트(수출 통제 목록)에 추가한 것에 대해 “미국이 국가 안보 개념을 계속 일반화하고 수출 통제 조치를 남용하며 중국이 단호히 반대하는 수출 통제 목록에 다수의 중국 기업을 포함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르면 미국은 오는 4월 3일 오전 0시 1분(한국 시간 오후 1시 1분)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한다. 엔진 등과 같은 핵심 부품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