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올 상반기 여행객 실적이 개항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올 상반기 인천공항 여객은 3636만명이었고 운항은 20만7959회로 집계됐다.
이번 여객 실적은 2019년 동기 대비 2.3% 증가하고 전년 동기 대비 6.1% 늘어난 것이다. 일본과 중국 등 단거리 여객 증가에 따른 것으로 공사는 보고 있다. 지난해부터 지속된 일본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일본 노선 여객 수는 전년 동기(854만명) 대비 9.3% 증가한 934만명을 기록했다. 한시적 비자 면제 조치가 시행된 중국 노선 여객도 전년 동기(463만명) 대비 24.3% 증가한 575만명으로 나타났다.
저비용항공사(LCC)의 공급 감소 등의 영향으로 동남아 지역과 대양주 지역 여객은 각각 3.8%, 11.9% 줄어들었으나 동북아 노선 여객 12.8%, 미주 7.8%, 유럽 3.0% 등 다수 지역 노선에서 여객 증가세를 보이며 전반적인 여객 성장을 견인했다.
여객 증가에 힘입어 공사의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이 모두 상승하며 재무적 성장을 나타냈다. 공사는 올 상반기 매출액을 1조3469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 상승한 수치이다. 공사는 비항공분야 매출이 지난해 상반기 7389억원에서 올 상반기 8588억원으로 16.2% 증가하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올 하계 성수기(25일~다음 달 10일)에는 일평균 22만7000명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공사는 전망했다. 이는 올해 설연휴(일평균 여객 21만8978명) 대비 4% 높고 지난해 하계 성수기(일평균 21만3782명) 대비 6.5% 높다.
이에 공사는 올 하계 성수기에 △공항 보안검색대 조기 운영, 대체 인력 투입 △스마트패스 전용 출국장 운영 △셀프백드랍·이지드랍 확대 △24시간 매장 운영 △주차장 탄력 운영 △심야버스 운영 확대로 여객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올 하계 성수기 동안 이용객의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안정적인 공항 운영으로 세계 허브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인천공항은 디지털 전환과 국제 네트워크 확장으로 연간 여객 1억명 시대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