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제주테크노파크에서 환경부·제주도·경상북도·현대차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맺고 국내 첫 배터리 성능평가기관인 ‘제주도 배터리 산업화센터’를 문 열었다고 이날 밝혔다.
전기차는 2010년 전후 보급을 시작해 지난 5월 말 기준 약 6만9000대가 보급됐다. 아직은 보급한 전기차 대부분 배터리 수명이 남아 있으나 조만간 폐 배터리가 대량 발생할 전망이다. 특히 센터가 들어선 제주는 전기차 전국 시도중 전기차 보급대수가 가장 많다.
현재까지 차주가 각 지방자치단체에 반납한 폐 배터리는 112대분이지만 내년엔 1464대, 2022년엔 9155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전기차 보급이 지금처럼 늘어난다면 폐 배터리 숫자는 앞으로 더 빠르게 늘어 또 다른 환경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다 쓴 전기차 배터리도 상태에 따라 단순 청소나 정비만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그 상태로 재사용이 어렵다고 하더라도 물리·화학적 가공을 거치면 니켈이나 코발트, 망간 등 돈 되는 금속 원재료만이라도 재사용이 가능하다. 환경 문제를 줄이면서도 또 다른 신산업이 되는 것이다.
제주도 배터리 산업화센터는 이처럼 다 쓴 전기차 배터리의 산업화를 위해 잔존가치를 평가하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방법과 기준을 정하기 위해 조성한 곳이다. 지난 3년 동안 산업부 82억7500만원, 제주도 98억5500원 등 총 188억8000만원이 투입됐다.
산업부는 앞으로 다 쓴 전기차 배터리 산업 생태계 구축, 환경부는 금속 회수 등 재활용 체계 구축에 나선다. 제주·경북도와 현대차는 관련 사업모델 발굴 부문에서 협력기로 했다. 또 이곳에 모인 폐 배터리를 전문 연구기관과 자동차업계에 임대 형태로 제공하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역할도 할 계획이다.
유정열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소비자가 전기차와 그 배터리 가치를 예측할 수 있어야 배터리 산업도 발전할 수 있다”며 “친환경을 산업화하는 정부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의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사용 후 전기차 배터리가 대폭 늘어날 예상인 만큼 이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고 금속을 회수하는 순환 경제 조성은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