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FE 이니셔티브는 우리 정부·산업계 주도로 확산을 모색 중인 탄소중립 달성의 새 방법론이다. 전 세계는 기후위기에 대응해 탄소중립 목표를 내걸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노력은 태양광·풍력 같은 재생에너지에 치우쳐 원자력·수소 등 모든 탈(脫)탄소 에너지원을 활용하지 않는 한계를 극복하자는 취지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유엔총회에서 CFE 이니셔티브를 제안한 걸 계기로 그해 10월 삼성전자·현대차 등 20개 기업·기관·단체가 CF연합을 출범했다. 정부·업계의 노력으로 현재 일본, 영국, 프랑스, IEA 등 12개 국가·단체의 지지를 받았고 올 10월 일본·아랍에미리트·체코·IEA와 함께 CFE의 국제 기준을 만들기 위한 글로벌 작업반도 출범했다.
산업부와 CF연합은 내년 중 CFE 글로벌 작업반을 통해 사용전력(scope2)와 산업공정(scope1) 부문의 CFE 인증제도 마련을 꾀한다. 또 내년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을 계기로 CFE 이니셔티브 국제사회 확산을 모색한다.
|
다나카 전 IEA 사무총장과 샌들로우 전 DOE 차관보, 에릭 깁스 미국 청정에너지구매자연합(CEBA) 부회장 등은 이어진 토론을 통해 세계 에너지 소비구조의 청정화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산업의 발전을 고려했을 때 무탄소 전력 공급 능력이 미래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앙리 파이에르 국제원자력기구(IAEA) 경제분석부장은 “원전을 포함한 저비용 청정 전력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의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또 마이크로소프트(MS·윤희식 이사)와 삼성전자(이보람 상무), 포스코(안윤기 상무) 등 국내외 주요 기업의 탈탄소 전력을 공유하고 청정수소(이상열 에너지경제연구원 수소경제연구단장)나 탄소 포집 후 활용 및 저장(CCUS)의 잠재력(권이균 박사)에 대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