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수부가 9일 발표한 ‘전세계 해적사고 발생동향’을 보면 올해 상반기 전 세계에서 발생한 해적사고는 총 107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87건)에 비해 23%가량 늘었다. 나이지리아, 가나 등 서아프리카 기니만 해역에서 해적사고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상반기 20건이었던 해적사고는 올해 상반기 들어 두 배 이상 늘어난 46건을 기록했다. 소말리아(7건→2건)와 아시아(43→43) 등에서 줄어들거나 비슷한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큰 폭으로 늘어난 셈이다.
해적사고로 인질로 잡히거나 납치당한 인원도 113명에서 136명으로 늘었다. 이 역시 서아프리카 해역에서 출몰한 해적 영향이다. 인질 피해자 102명 중 100명(98%)과 선원납치 피해자 25명은 모두 서아프리카 해적 때문에 발생했다. 지난해 인질피해가 63명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피해 규모 증가폭도 크다.
서아프리카에서 해적이 늘어나는 이유는 나이지리아와 가나 등에서 보코하람 같은 극단주의 이슬람 무장세력이 확산되면서 정세가 불안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국가 정부가 해상치안에 신경 쓸 여력이 없어진 상황이다. 이 틈을 타 중국 등 다른 국가의 원양어선들이 어족자원이 풍부한 이곳까지 조업 범위를 넓혔다. 어업에 종사하는 현지인 대부분이 해적질에 나선 까닭이다.
문제는 이들이 한국 국민들을 납치하거나 인질로 잡고 몸값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지난 3월에는 가나 해역에서 나이지리아 해적에 의해 참치잡이어선 마린 711호가 납치됐다. 당시 이 선박에 타고 있던 한국인 3명은 피랍 한 달여만에 석방됐다.
정부는 해군 함정을 파견해 한국 선박을 보호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말리아에 청해부대 27진인 왕건함을 파견했다. 김영춘 해수부장관은 왕건함 출항 전 지휘부와 만나 한국 선원과 선박의 안전을 위한 완벽한 임무수행을 당부하기도 했다.
최성용 해수부 해사안전관리과장은 “서아프리카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은 연안으로부터 200마일 이상의 충분한 거리를 두고 항해해야한다”며 “위험해역 진입 전 통항보고 및 비상훈련실시, 해적침입방지시설 설치, 해적당직 등 경계활동 강화 등 해적행위 피해해방 요령을 철저히 이행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