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 외교부 장관은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한 계기에 문 전 대통령과 만나는 것이 대북 특사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유기홍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문 전 대통령을 대북 특사로 임명하는 사안은) 들은 바도 없고 (정부 내에서) 검토한 바도 없다”고 답했다.
문 전 대통령의 대북 특사 가능성은 지난 12일 권영세 통일부 장관의 인사 청문회 당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의 제안으로 언급되기 시작했다. 당시 권영세 후보자는 태 의원의 제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여기에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바이든 대통령이 문 전 대통령을 만나는 것은 ‘대북 특사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며 힘이 실렸다.
다만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창궐로 시름하는 있는 북한이 대북 특사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노이회담 결렬 등으로 남북·북미 관계가 경색된 이후에도 문 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친서를 교환하며 개인적 인연을 이어나갔지만, 북한은 남한의 인도적 지원 등 공적인 영역에서는 철저한 선을 그어왔다.
한 외교 소식통은 “특사 등 공적인 영역보다는 문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사적인 만남일 것”이라며 “문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같은 카톨릭 신자이고, 대통령 시절에도 좋은 ‘케미’(관계)를 보여왔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2일 서울 모처에서 문 전 대통령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