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김이배 제주항공(089590) 대표, 최정호 진에어(272450) 대표, 정홍근 티웨이항공(091810) 대표, 한태근 에어부산(298690) 대표,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 조규영 에어서울 대표 등 국내 주요 LCC 대표는 이날 송옥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과 만나 간담회를 열었다.
LCC 대표단은 항공업종에 대한 특별고용지원업종 유지와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시한 연장과 관련해 국회의 관심을 요청했다. 이들은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를 활용해 고용유지를 위한 자구노력을 추진 중이지만, 지원 종료기한이 임박해 앞으로 대량실업 등 고용 불안이 크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고용대책과 회사의 자구 노력, 직원들의 고통분담을 통해 단 한 명의 해고 없이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자”고 한 목소리를 냈다.
항공업계는 정부가 항공기 취급업을 특별고용업으로 지정해 휴직급여의 최대 90%(대기업은 70%)를 보전하는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아 총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항공사는 3월부터 고용유지지원금으로 약 70%의 직원을 휴업시키고 있지만, 지원금의 지급 기한이 최장 6개월(180일)이어서 8월 이후 지원금을 받을 수 없게 된다.
국제선 운항이 사실상 중단된 가운데 지원금마저 끊기면 항공사는 인건비 절감을 위해 본격적인 인력 구조조정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국적항공사 8개사(이스타항공 제외)의 유·무급휴직자는 △무급휴직자 6336명 △유급휴업·휴직 1만7905명 △임금반납 등 기타 379명으로 총 2만4620명에 달한다. 전체 인원 3만7796명의 65%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
경영 실패가 아닌 코로나19라는 어쩔 수 없는 사안으로 대내외 환경이 악화한 만큼 정부·여당도 특별고용지원업종·고용유지지원금 지원 연장에 긍정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 연장을 위해서는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관련 고시 개정과 함께 고용보험법 시행령을 개정해야 한다. 송 위원장은 “고용노동부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어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은 있다”고 말했다.
항공업계는 코로나19 사태로 대부분 항공사가 적자인 가운데 대량 실직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LCC는 상대적으로 작은 기재를 보유하고 있어 대형항공사(FSC)와 달리 화물 사업을 대부분 하지 않아 매출 회복이 어렵다. 현재 대부분 LCC가 국내선 여객 매출로만 버티고 있어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
LCC업계 관계자는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이 연장되지 않으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항공업계는 무급휴직, 희망퇴직 등 인력 구조조정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항공업계 한 축이지만, 항공사에 가려져 ‘사각지대’에 놓인 지상조업사도 고용유지지원금의 지원 연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상조업사는 여객 수하물 상·하차와 기내 청소, 항공기 급유 등 비행을 제외한 항공 전반을 책임지기 때문에 코로나19로 여객기 날개가 꺾이면서 자연스럽게 지상조업도 멈춰 매출이 90% 가까이 급감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