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파병 당시 국내 코로나19 백신 수급 사정이 여의치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군의 대응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점, 국방부가 파병부대 백신 접종에 손을 놓고 있었다는 점, 3밀(밀집·밀접·밀폐) 함정에서 첫 유증상자를 격리조치하지 않은 점 등 납득할 수 없는 상황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군 안팎 분위기도 심상찮다. 군 수뇌부를 향한 방역 실패 문책론이 거세지고 있다.
21일 군 전문가 등에 따르면 이번 사태는 군 당국의 초기 부실대응에 따른 방역 골든타임을 놓친 결과라는 분석이다.
|
실제 청해부대원의 확진자 규모는 이 같은 군의 총체적 부실 대응을 방증한다. 전날 조기 귀국한 청해부대 34진 장병 301명에 대해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다시 한 결과, 약 90%에 해당하는 270명(전체의 89.7%)이 확진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아프리카 현지 PCR 검사에선 총 247명이 확진됐는데 재검사에서 확진자가 23명 증가한 것이다. 백신 미접종 상태에서 ‘3밀’ 함정에서 지냈다고 하더라도 10명 중 9명이 감염되면서 최악의 방역 실패로 남게 됐다.
군 당국의 백신 미접종과 부실 대응을 놓고 군의 감염병 대응 지침과 운용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는지에 대한 전면 조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여론도 나쁘다. 박재민 국방차관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전화 출연해 여전히 ‘백신 부작용’ 탓만 되풀이해 성난 여론에 불을 지폈다. 박 차관은 “코로나19 백신접종 계획을 보다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다”고 시인하면서도 질병관리청과 국방부 간 해외 파병부대의 백신접종에 대해 “구두 협의”한 것은 맞다며 이상반응을 우려해 백신접종을 할 수 없었다는 취지의 해명만 늘어놨다. 끝까지 제 식구를 챙겼어야 했을 국방부가 방역당국과 통상적 수준의 의견을 교환한 뒤 이후 백신접종 검토조차 하지 않았음에도 똑같은 변명만 늘어놨다는 비판이 나왔다.
군 당국의 방역 실패 책임론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청해부대원 백신 접종에 손놓은 국방부, 작전 5개월간 백신 요청은 물론 제대로 된 보고를 하지 않았던 합참과 해군, 원격진단만으로 발병 가능성을 낮게 진단한 국군의무사령부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