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의 정당성을 놓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한 가운데, 특위에서도 신경전이 계속됐다.
|
이날 기관 증인으로는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로 직무가 정지된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한 총리가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건 탄핵 이후 처음이다. 증인 채택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 오동운 공수처장 등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여야는 회의 시작부터 공수처의 윤 대통령 체포 문제와 일부 증인의 불출석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박준태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이 도발한 상황에도 국정원장이 참석했고 직무 정지된 총리도 나왔는데 공수처는 왜 나오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 체포영장 불법 집행으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전적으로 공수처와 경찰에 있다”며 “대통령이 자진 출석을 하겠다는데 이를 거부하고 영장을 집행하겠다는 것은 망신주기 아니냐”고 반발했고 이 과정에서 여야 의원 간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또 민병덕 민주당 의원은 “국정 책임자인 최상목 대행이 이 자리에 나오지 않아 유감”이라며 “최 대행은 앞서 긴급 현안 질의에도 바쁘다는 이유로 불출석했는데 국회를 무시하기로 작정한 것”이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이어 야당 의원들은 한 총리를 상대로 계엄 직전에 열린 국무회의 등 당시 상황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한 총리는 “계엄에 대한 얘기를 들었을 때 저는 매우 큰 충격을 받아 사실은 그때 당시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한다”고 호소했다.
‘계엄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선포가 된 것이냐’는 민홍철 민주당 의원 질문에 “그렇게 믿는다”고 답한 한 총리는 ‘계엄사령관 임명 과정도 국무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았나’라는 질문에도 “논의한 바 없다”며 사전 모의 의혹에 선을 그었다.
다만 ‘계엄이 잘못이라면서 왜 위헌·위법이라고 표현하지 않느냐’는 지적에 한 총리는 “최종적으로는 사법적인 판단에서 결정하는 것”이라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또 이날 오전 윤 대통령이 체포되기 직전 ‘무효인 영장으로 절차가 강압적으로 진행됐다’는 메시지를 낸 것에 대해서는 “모든 국민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공수처의 체포·수사에 순응해야 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한편 국회를 겨냥해서 작심 비판을 하기도 했다. 한 총리는 ‘국무위원들이 비상계엄에 암묵적으로 동의했다는 의혹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해달라’는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요청에 “그 국무위원들의 모임은 윤 대통령에 계엄의 문제점을 좀 더 많이 말하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제가 건의한 것”이라며 “실제 그 자리에 모인 분 중 계엄에 찬성한 분은 단 한 분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지금 처해있는 상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세계적인 추세, 경제·금융시장 이런 것을 봤을 때 우리 정치권이 오로지 국민만을 위해 대화하고 협력해야 한다”며 “우리 여아가 이번에 제대로 하지 못하면 두고두고 우리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확실하게 말씀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국회가 정쟁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의식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이 국무위원들을 무한 탄핵하겠다는데 국익에 어떤 영향을 미칠것 같느냐’는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는 “몇 명만 더 문제가 되면 국무회의는 불능화·무력화돼서 수많은 일을 국가가 결정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