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전 거래일 대비 2.65% 오른 12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12만8700원까지 치솟아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연중 최고점을 경신한 것이다.
이는 에코프로비엠이 전기자동차(EV) 배터리용 하이니켈계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소재 공급 물량 확대를 위해 865억2000만원 규모의 신규 시설 투자를 결정했다고 전날 공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번 투자규모는 자기 자본 대비 23.37% 수준이다.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860억원 규모의 시설 투자 공시는 공장 CAM5의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재 라인의 NCM 전환 위한 시설 투자(설비 전환 420억원, 건물 투자 440억원)로 추정된다”면서 “향후 신규 NCA 양극재 생산은 삼성SDI(006400)와의 합작설립회사(JV)인 에코프로이엠에서 담당하기로 함에 따라 CAM5는 NCM 생산에 집중해 생산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이번 투자 공시는 2만6000톤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신설 예정 공장인 CAM5N 건설 및 CAM5 NCA라인의 NCM라인 전환으로 추정된다”며 “전기차용 양극활물질에 대한 본격적 확대가 시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2월 3일 SK이노베이션(096770)과 2023년 12월 31일까지 2조7413억원 규모의 하이니켈계 NCM 양극소재 중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SK이노베이션향 양극활물질이 CAM5 공장에서 3월부터 생산돼 공급되기 시작했다. 매분기 생산능력과 가동률 상승에 따라서 SK이노베이션향 물량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또 CAM5N 공장이 준공되면, CAM5의 NCA 2라인을 NCM으로 전환하기 위한 설비 반입이 진행되며, CAM5는 NCM 2만6000톤급 공장이 되고, CAM6에서 삼성SDI(006400)향 NCA 생산이 이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 회사 주가는 4월까지 큰 폭의 상승세가 없었지만 5월 중순부터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하며 우상향했다. 5월 들어 지금까지 종가 기준 69.86% 급등했다.
이날(11일) 기준 시가총액 규모도 2조5996억원으로 코스닥 시총 순위 8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주가에 탄력이 붙은 것은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생산 규모 확대에 따른 수혜가 전망된다는 분석 때문이다.
모회사 800억 EB 발행과는 무관
일각에서는 신소재 개발에 따른 새로운 고객 유입도 기대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향 공급도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주민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NCM은 SK이노베이션, NCA는 삼성SDI가 주력 공급처인데, 기존 고객사들과의 관계를 감안시 신규 고객사 확보를 위해선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필요했다”면서 “이를 위해 현재 NCMA 개발을 마친 상태로 신규 고객사향 샘플 작업을 거치고 있어, 일류 배터리 업체 뿐 아니라 유럽, 중국의 베터리 업체 등 다양한 고객사향 새로운 공급망 구축이 예상된다”고 해석했다.
그는 “삼성SDI의 테슬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배터리 공급이 21700 원통형 배터리로 확대될 경우 미국업체 텍사스 기가팩토리향 공급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현재 삼성SDI가 ESS향 21700 배터리 양산 테스트를 거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ESS향 공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추후 테슬라 전기차향 공급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한편 모회사 에코프로(086520)의 교환사채(EB) 800억원 발행 결정은 이번 시설 투자와 관계가 없다는 분석이다. 에코프로는 800억원 규모의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제이앤 무림 에코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외 9곳을 대상으로 EB 발행을 결정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회사 측은 “자회사 에코프로비엠의 주가가 좋은데다, 지분율(53.24%)이 견고한 상황에서 향후 연구개발(R&D)을 위한 자금을 미리 마련해 놓자는 취지에서 진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의 시설투자와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되며, 친환경 자체 사업 추가 투자 위한 EB 발행이라고 판단된다”면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케미칼 필터, 온실가스 저감 등 최근 그린 뉴딜 정책 관련 수혜 받을 수 있는 사업군을 보유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사업 확장 위한 선제적 투자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