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인사에 이어 비서관급 후속 인사와 개각도 순차적으로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차기 총선 출마를 희망하는 참모진을 배려하면서 내각과 청와대의 분위기 쇄신을 위한 것이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 후속인사와 향후 예정된 개각에서 친문코드를 강화할 경우 위기상황 정면 돌파를 위한 친정체제는 보다 공고화될 전망이다.
◇野 비판에도 친문 전진배치로 승부수…개혁에서 정책성과 무게추 이동
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5월 취임 이후 약 20개월 만에 청와대 참모진의 간판 얼굴을 바꿨다. 임종석 체제의 1기 대통령 비서실이 2기 노영민 체제로 전환한 것. 아울러 정무수석·국민소통수석 등 핵심 참모진을 교체하면서 2기 청와대도 본격 출범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친문인사의 전면 등장이다. 현 정부 출범 초기 이낙연 국무총리·임종석 비서실장이라는 비문인사를 발탁, 탕평기조를 내세웠던 점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실제 노영민 비서실장은 문 대통령의 정치적 고비 때마다 뜻을 함께 해온 자타공인 최측근이다. 강기정 정무수석 또한 문 대통령의 민주당 대표 시절 정책위의장을 지낸 전략통이다. 국정철학 이해도가 높은 핵심 참모를 전진배치시켜 임기중반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다. 경제지표 및 지지율 하락으로 현 정부가 추진 중인 주요 핵심과제들이 강한 저항에 시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임종석 실장 체제의 1기 청와대가 적폐청산과 개혁추진의 양대 과제에 보다 집중했다면 노영민 실장 체제의 2기 청와대는 가시적인 정책성과에 올인할 전망이다. 정무에서 정책으로, 개혁에서 성과로 국정운영의 무게추를 이동시키는 셈이다. 문 대통령은 최근 경제행보에 올인중이다.
노 실장의 경우 국회에서 다년간 신성장산업포럼을 이끌면서 만들어온 산업·경제계를 비롯한 각계의 현장과의 풍부한 네트워크 및 소통 능력이 강점이다. 또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 시절 다져놓은 폭넓은 재계인맥을 고려하며 그동안 다소 껄끄러웠던 재계와의 관계회복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노 실장과 강 수석이 3선 중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매끄러운 여야협치와 당청관계를 고려한 대목으로 볼 수도 있다. 강수석의 경우 지난 2016년 공무원연금개혁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대립과 갈등을 조정하는 타협과 소통능력을 보여준 바 있다. 하지만 친정체제 강화와 성과를 내기 위해 단행한 청와대 개편이 역효과를 내면 문 대통령은 조기 레임덕에 빠질 수도 있다. 역대 정권마다 이뤄진 비서실장 교체가 순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총선 대비 위해 9일 후속 비서관급 인사…설 연휴 이전 개각 단행 유력
문 대통령은 이어 9일 후속 비서관급 인사도 단행한다. 총선 출마를 희망하는 참모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현 정부 출범 이후 300명에 이르는 청와대 출입기자들과 동고동락해온 권혁기 춘추관장이 총선 준비차 춘추관을 떠난다. 후임 춘추관장은 김정숙 여사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해왔던 유송화 제2부속비서관이 맡게 됐다. 신지연 해외언론비서관은 유송화 비서관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제2부속비서관으로 연쇄 수평 이동한다. 이밖에도 송인배 정무비서관, 백원우 민정비서관, 조한기 1부속비서관 등 차기 총선 출마 예정자들 역시 교체 대상이다.
개각도 관심사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8월 개각을 제외하고는 크게 인사를 단행한 바 없었다. ‘사람을 신뢰하면 되도록 오래 쓴다’는 인사철학 때문이다. 다만 청와대 비서진 개편에 따른 쇄신 의지 부각을 위해 설 연휴 이전 개각을 단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개각의 폭과 시기는 인사검증 속도 및 문 대통령의 결단에 달려있다. 장관인사의 경우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현역 의원인 김부겸 행정안전·도종환 문화체육관광·김현미 국토교통·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의 경우 총선출마 문제로 교체가 확실시된다. 아울러 현 정부 출범 직후 합류했던 조명균 통일부·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교체 가능성이 거론된다. 다만 남북관계 개선과 북미대화의 진전 여부에 따라서는 교체시기가 다소 늦춰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