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인도 보석·주얼리 업계, 트럼프 26% 관세에 화들짝

방성훈 기자I 2025.04.04 16:39:41

"인도 정부 면제 기대했는데 고율 관세 부과"
인도 보석·주얼리 수출 320억달러…美 30% 차지
일자리 위협 우려도…"무역협정 통해 완화 기대"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인도의 보석·주얼리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통신,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미 수출이 급감해 관련 일자리도 위협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사진=AFP)


미국은 인도의 최대 보석·주얼리 수출 시장이다. 2024회계연도 기준 인도의 보석·주얼리 수출액은 323억달러다. 이 가운데 약 100억달러(30.4%)어치는 미국으로 향했다. 인도는 전 세계 다이아몬드 가공 시장에서 90% 점유율을 차지하며, 미국 외에도 중국, 중동 등으로 수출을 하고 있다.

2024회계연도 보석·주얼리 전체 수출액은 중국의 수요 둔화로 전년보다 14.5% 줄어든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인도에 상호관세 26%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인도에서 수입하는 보석 및 주얼리의 관세율은 기존 6%에 더해 32%로 높아졌다.

로이터는 인도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서 면제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상황에서 예상보다 높은 관세율이 책정됐다고 짚었다. 타임스오브인디아도 “업계 기대치를 크게 상회한 수치”라며 “다이아몬드 커팅, 연마, 정교한 수작업 등 관련 일자리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카마 주얼리의 설립자 겸 상품기획자(MD)인 콜린 샤 대표는 “관세를 올리더라도 10~15% 수준을 예상해 대비하고 있었다”며 “비용 및 가격 상승 등으로 미국 소비자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토로했다.

인도 보석·주얼리 진흥협회는 성명을 내고 “인도 수출업체와 미 소비자 모두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이 협회의 쇼나크 파리크 부회장은 “앞으로 몇 달 안에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며 “당장은 힘든 시기를 견뎌야겠지만, 곧 돌파구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관세 전쟁

- 트럼프 “기업들, 미국으로 지금 옮겨라…관세 ‘제로’” - “묻고 더블로 가” 中 보복 조치, 대미 관세 34%→84%(종합) - 트럼프 104% 관세 때리자…“中지도부, 대응 회의 소집”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