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청와대와 출입기자와의 사전 시나리오가 없었다는 점에서 90분간 이어진 질의응답은 생동감이 넘쳤다. 다만 부작용도 없지 않았다. 기자들의 질문이 외교안보 및 경제분야에 집중되면서 당면한 정치사회 분야 이슈는 대부분 거론되지 않았다. 180명의 기자 중 질문권을 얻은 기자는 22명이었다. 외교안보 분야가 8개, 경제민생 분야가 9개, 정치·사회문화 분야가 5개였다.
가장 아쉬운 점은 국민 생활에 가장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과 교육 문제에 대한 질문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연동형 비례제 도입 등 선거구제 개편과 의원정수 확대 논란 등 정치분야의 핫이슈도 거론되지 않았다. 또 청와대 2기 비서진 개편 이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개각 문제에 대한 질문도 전무해 문 대통령의 구상을 알 수 없었다. 이밖에 △스포츠계 성폭력 문제 △종교적 병역거부에 따른 대체복무 논란 △사법부 재판거래 의혹 △청와대 행정관과 육군참모총장의 부적절 만남 의혹 등 뜨거운 이슈에 대한 질문이 나오지 않아 문 대통령의 입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아울러 △20대 남녀 지지율 격차 △현직 언론인의 청와대 직행 △광주형 일자리 문제 등은 문 대통령이 예정시간을 훌쩍 넘긴 신년회견 말미에 기자들에게 추가로 질문기회를 주지 않았다면 나오기 어려운 질문이었다.
이는 각 분야별로 필수적인 질문을 사전에 조율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른바 사전 각본없는 기자회견의 구조적 한계였다. 지난해 신년기자회견에서도 당시 가장 뜨거운 현안 중 하나였던 비트코인 문제에 대한 질문이 나오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