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원은 건강보험 보장률이 3.3% 포인트 증가에 그쳤지만 비급여 의료서비스 소비량은 121% 폭증했고 그에 따른 건강보험 재정 지출과 가계·기업 보험료는 각각 16.9%(9조 3000억원), 18%(8조 9000억원)씩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박성복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위원은 “비급여 의료서비스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률을 높이면서, 비급여 의료서비스 소비량이 증가하고 이에 상응해 건강보험 재정 지출이 늘어났다”며 “그에 따라 재정 수지를 맞추기 위한 건강보험료 인상으로 가계와 기업의 건강보험료 부담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실질 GDP는 0.7%(13조 1000억원), 총일자리 0.4%(8만 3000개), 총실질자본 1.5%(8조 2000억원), 총실질투자 0.8%(3조 7000억원), 총실질소비 0.04%(5000억원) 등이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박성복 부연구위원은 “건강보험료 인상으로 비용 부담이 커진 기업은 노동 수요량(일자리)을 줄이고, 이에 상응해 자본 수요량도 감소했다”며 “투입요소인 노동과 자본 수요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산량(실질GDP)이 감소했고, 보험료 인상으로 가계의 처분 가능한 소득이 줄어 소비량이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문재인케어는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가 늘어난다는 기본적인 경제 원리조차 고려하지 못한 정책”이라며 “비급여 의료서비스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률 강화가 ‘과잉 의료소비 → 건강보험 재정 악화 → 건강보험료 인상’이라는 악순환을 초래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