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제발 정신 좀 차려라"…한국당 내부서도 막말 자성론

유태환 기자I 2019.06.03 17:17:25

황교안 당부에도 끊임없이 이어지는 말 폭탄
지지층서 "文정권 실정에도 언행으로 추락"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은 노심초사 분위기
"민심과 동떨어진 설화 생기면 굉장히 예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유태환 기자] 자유한국당 지도부의 계속되는 막말에 당 지지층과 내부에서조차 비판이 나오는 등 후폭풍이 거세다. 국민들의 일반 정서와 동떨어진 거친 언사에 대한 정치권의 비난은 말할 것도 없고, “지지도만 좀 올라가면 설화가 터진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들린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연일 신중한 언행을 당부하고 있지만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튀어나오는 막말에 마땅한 대응책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5.18 민주화운동과 세월호 참사 폄훼·문재인 대통령 지지자 비하 발언에 곤욕을 치렀음에도, 말 폭탄이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당이 ‘막말 프레임’에 갇혀 옴짝달싹 못하는 모양새다.

◇황교안 “국민에 심려 안 드리게 더 노력”

황 대표는 3일에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내 막말 논란에 대해 “사실을 말하는 정당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그 과정에서 혹시라도 국민에게 심려를 드리는 얘기가 나오지 않도록 앞으로 더욱 노력하겠다. 각별히 애쓰겠다”고 몸을 낮췄다.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언사에 각별히 유의해달라는 당부를 했다고 한다.

하지만 한선교 사무총장은 황 대표에게 질의하기 위해 국회 복도 바닥에 앉아 대기하던 당 출입 기자들을 향해 “걸레질을 한다”고 하면서 이런 주의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한 총장은 뒤늦게 입장문을 내고 “기자들의 취재환경이 열악하여 고생한다는 생각에서 한 말로 상대를 비하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해명했다.

지난 주말 막말 논란의 당사자였던 정용기 정책위의장과 민경욱 대변인은 “진위가 왜곡됐다”는 취지의 입장을 고수했다.

정 의장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금요일 발언을 악의적으로 왜곡하려는 세력에게 빌미가 된 것을 우려하는 국민들이 계신다”며 “이 부분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명한다”고만 했다. 앞서 정 의장은 지난달 31일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서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합의 불발에 따른 후속조치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 등을 처형했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 “김정은이 문재인 대통령보다 지도자로서 더 나은 면도 있다”고 하면서 구설에 올랐다.

우리 국민이 탑승했던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에 대해 “일반인들이 차가운 강물에 빠졌을 때 골든타임은 기껏해야 3분”이라는 페이스북 글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민 대변인 역시 입장을 묻는 기자들 질의에 “대통령 말씀에 진정성 있어야지 안 그러면 쇼가 된다”고 했다.

◇“지지 철회하고 당분간 무당 층” 얘기도

한국당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주말을 기점으로 이런 막말에 대한 지지자들의 비판 글이 이어지고 있다.

한 글쓴이는 “문재인 정부의 실정과 위기로 기선을 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임에도 불구하고 쓸데없는 언사와 언행으로 추락하는 것을 이대로 보고만 있을 거냐”고 성토했다. “한국당을 지지하고 응원해 왔는데 지지를 철회하고 당분간 무당 층으로 남겠다. 제발 정신들 좀 차리고 제대로 된 논평을 하라”는 글도 보인다.

특히 21대 총선에서 여의도 입성을 노리는 수도권 지역 원외 당협위원장들은 그야말로 노심초사다.

한 수도권 당협위원장은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아무래도 수도권이 다른 지역보다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당내에서 민심과 동떨어진 설화가 발생하면 굉장히 예민하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특정 개인의 발언인데 우리 원외 당협위원장들은 너무나 마음이 절절하다”며 “황 대표도 연석회의에서 ‘국민이 정치인을 걱정하지 않도록 만드는 게 정말 중요하다’는 부분을 몇 번에 걸쳐서 강조했다”고 전했다.

한 서울 지역 당협위원장 역시 통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의도가 잘못됐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면서도 “너무 과격한 단어를 쓰다 보니 의도와 달리 모든 게 묻히는 경향이 있다. 국민들이 조금 더 공감할 수 있는 용어를 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