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며 오후 6시 이후 3인이상 집합을 금지하는 등 정부는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강력한 방역조치 시행에 나섰다.
그러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공공 흡연부스는 별도의 조치 없이 기존대로 운영돼 방역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
지자체들은 흡연부스 이용시 2m이상 거리두기, 분비물 배출 금지 등 방역 수칙을 만들기는 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지키는 사람을 찾아볼 수 없는 있으나마나한 조치다.
가림막안에서 '혼밥'을 해도 출입 명부를 작성하고, QR코드를 등록하는 데 비해 불특정 다수가 수시로 드나드는 흡연부스는 출입관리는커녕 기본적인 체온 확인조차 없어 흡연부스가 자칫 주요 감염원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일반 숨보다 담배 연기를 통해서 더 많이 나온다"며 "코로나가 일반적으로 분비물을 통해 감염되는만큼 흡연부스 내부에 바이러스가 많이 남아있을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텅 빈 식당가... 사람들 넘쳐나는 흡연부스
27일 찾은 서울시 중구 을지로입구역 인근 흡연부스. 땡볕 아래에서도 끊임없이 사람들이 찾아왔다.
기자가 이 곳에 서서 드나드는 사람들을 지켜본 결과 21㎡ 크기의 부스 안에는 많을 때는 16명이 동시에 담배를 피워 물었고 마스크를 내린 채 서로 얘기를 나누기도 했다. 흡연부스 안에 사람들이 넘쳐나자 일부는 부스 밖으로 나와 담배를 피우기도 했다.
“워낙 유동인구가 많은 길목인데다 근처 직장인들도 이곳에 나와 담배를 피워 사람들이 많이 몰린다."
5년째 중구 지역 흡연구역을 관리하고 있다는 김모씨(남·70)의 설명이다. 2m이상 거리를 두고 침을 뱉거나 마스크를 내린 채 대화하지 말라는 흡연부스 방역규정은 있으나마다.
김씨는 "담배를 피우고 나면 습관적으로 침을 뱉는다, 코로나 감염 우려가 있으니 하지 말라고 하지만 들은 척도 안한다"고 토로했다.
방역 위해 폐쇄해야 Vs 막으면 숨어서 피워
중구청은 지난달 흡연부스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우려해 관내 흡연부스를 모두 폐쇄하는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흡연부스 폐쇄되자 흡연자들이 부스 인근 골목에 모여 담배를 피우면서 오히려 감염 가능성을 높이고 간접 흡연 피해까지 키운다는 지적에 결국 울며겨자먹기로 부스를 다시 열었다,
“지난 6월에 잠시 (흡연부스를) 폐쇄했었어요. 그러다 보니 다들 부스 밖에 모여서 피니까 (구청에서) 몇주만에 다시 개방하더라고요.”
김씨는 폐쇄될 당시 부스에 둘렀던 테이프의 자국을 가리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영등포구 또한 관내인 여의도 증권가에서 확진자가 쏟아지자 지난 9일 여의도 일대 흡연부스를 모두 폐쇄했으나 같은 이유로 결국 지난 17일 폐쇄조치를 철회했다.
흡연자인권연대 박상륜 대표는 "영등포구와 중구의 흡연부스를 폐쇄했다가 다시 열었다는 것은 흡연 공간이 그만큼 부족해서 그 폐해가 심각했기 때문"이라며 "흡연공간을 충분히 늘려준다면 골목길과 아파트 안으로 들어가 비흡연자들에게 폐를 끼치게 되는 것도 줄어들 것이다"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서초구의 경우 환풍구가 있는 1인 흡연부스를 도입해 코로나 감염 가능성을 최소화했다"며 "다른 지자체에서도 검토해볼 만한 아이디어라고 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니코틴이 코로나 바이러스 침투를 도와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에 비해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데다 코로나 감염시 사망할 확률도 2배나 높다며 담배를 끊는게 최선이라고 지적했다.
천은미 교수는 "흡연자는 코로나 감염시 중증질환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백신 예방효과는 낮춘다"며 "이번 기회에 담배를 끊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 스냅타임 박서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