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담 北에 달렸다”vs“대화 구걸 않는다” 입씨름
북·미 정상회담이 20여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미국과 북한은 서로를 압박하면서 공세를 늦추지 않았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이어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북한의 새로운 타겟으로 떠올랐고 미국은 “개최 여부는 김정은에 달렸다”면서 전방위적인 압박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6·12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무엇이 되든, 우리는 싱가포르(회담)에 관해 다음 주 알게 될 것”이라고 했다. 북한의 ‘회담 재고려’ 카드에 ‘취소 또는 연기’ 가능성을 내비친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비핵화 일괄타결을 골자로 한 트럼프 모델 수용을 촉구하며 시한의 말미를 준 셈이다. 이 가운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그 결정은 결국 김 위원장에 달렸다”고 말했다. 다음주 내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확답’을 촉구하는 뉘앙스로 읽힌다. 폼페이오 장관은 “그(김정은)가 회담을 요청했다. 회담이 열리기를 매우 희망하고 있다”고도 했다.
북한은 최선희 외무성 부상을 앞세워 또다시 북·미 정상회담의 ‘재고려’ 가능성을 내비쳤다. 최 부상은 자신 명의의 담화를 통해 “미국이 우리를 회담장에서 만나겠는지 아니면 핵 대 핵의 대결장에서 만나겠는지는 전적으로 미국의 결심과 처신 여하에 달려 있다”며 “우리는 미국에 대화를 구걸하지 않으며 미국이 우리와 마주앉지 않겠다면 구태여 붙잡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최 부상의 담화는 ‘미국’을 조준했다기 보다는 펜스 부통령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 부상은 펜스 부통령을 집어 “북조선이 리비아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느니, 북조선에 대한 군사적 선택안은 배제된 적이 없다느니, 미국이 요구하는 것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라느니 뭐니 하고 횡설수설하며 주제넘게 놀아댔다”고 자극적으로 비판했다. 지속적으로 미국 내 ‘매파’를 향해 비판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물밑에서는 의제 조율..비핵화 프로세스 시동
최 부상이 “나는 조미(북·미) 수뇌회담을 재고려할 데 대한 문제를 최고지도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한 점에서 최고지도부와 자신을 확연하게 구분 지으려는 의도가 읽힌다. 트럼프 행정부-미국 내 강경파의 갈라치기를 그대로 답습한 모양새다. 여성과 단둘이 자리하지 않는다는 ‘펜스룰’을 만든 펜스 부통령에게 여성인 최 부상 명의의 담화로 더 큰 비판의 목소리를 실었다.
수면 위로는 북·미 강경파 간 입씨름이 한창이지만 미국과 북한 모두 북·미 정상회담 조율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지프 헤이긴 백악관 부비서실장과 미라 리카르델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을 포함한 미국 고위급 대표단이 주말 싱가포르에서 북한과 접촉을 한다. 회담 의제는 물론 장소, 형식, 인력 및 물자 이동 등 세부 내용이 조율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도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를 일정대로 진행하면서 비핵화로 가는 첫걸음을 뗐다. 남측 취재진의 합류 문제를 놓고 기싸움을 벌였지만 결국 우리측이 포함된 외신 기자단이 풍계리로 향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24일 “전반적인 사항을 고려하면 오늘 행사가 이뤄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봤다.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에 대해 “평화를 위해 상대방에게 상응한 행동 조치를 촉구하는 선제조치”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북·미 정상회담 논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비핵화 조치를 진행하면서 미국을 압박하는 한편, 이에 대한 확실한 보상을 받겠다는 의지도 엿보인다.